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글로벌 채권시장 '패닉'… 미 국채 이어 日·獨 국채까지 매도 확산

코투선 0 4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매도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감세 법안 추진으로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불붙은 영향이다.

미국 국채뿐만 아니라 일본, 독일 등 주요국 장기채도 동반 하락하며 '채권 전염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도쿄 이스트스프링 투자의 롱 렌 고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신용등급 강등이나 재정적자 확대 우려를 불러오는 예산안 등은 투자자들이 장기채권 리스크를 재평가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17479182619306.jpg
미 달러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08.17 [email protected]

◆ 미국 국채, 30년물 5% 돌파…'크고 아름다운' 세금 감세안, 시장은 '떨떠름'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감세안이 향후 3~5조 달러의 국가 부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감세안에 반대한 공화당 내 이탈파를 설득하는 데 실패하면서 시장 불안은 더욱 커졌다.

미즈호 증권의 매크로 리서치 책임자인 비슈누 바라탄은 "시장은 트럼프의 '크고 아름다운 감세안'을 전혀 아름답지 않게 보고 있다"며 "미국 국채는 추악한 매도세에 시달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30년물 국채 금리는 이틀 연속 5%를 돌파하며 2023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인 5.088%까지 상승했다.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도 이번 주 들어 15bp(1bp=0.01%포인트) 이상 뛰었다. 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채권금리)은 반대로 움직인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미국 국채 매도세가 4월 미국 자산 전반에서 발생한 자금 유출의 연장선이며,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 저하가 주요 배경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대거 처분할 당시에는 일본과 독일의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했지만, 이번에는 주요국 전반에서 동시다발적인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다.

17479182622882.jpg
일제히 급등하는 주요국 30년물 국채 수익률 [자료=블룸버그]

◆ 일본 국채 금리도 동반 급등…"생보사 수요 감소·BOJ 긴축 우려"

각국의 장기채 매도세는 저마다의 요인에 기인하지만, 공통된 배경은 '악화되는 재정 전망에 대한 불안'이다. 재정 악화에 대한 불안이 투자자들 사이 장기물 보유에 대한 '텀 프리미엄(term premium)'을 재조정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텀 프리미엄이란 만기가 긴 채권을 보유하는 대가로 투자자들이 요구하는 추가 수익률을 뜻한다.

일본 4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3.689%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30년물 역시 3.187%로 고점 근방에 머물렀다. 10년물 금리도 이번 주 9bp 상승해 1.57%에 도달했다.

일본 국채 수익률 곡선의 급격한 가팔라짐은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결과지만, 핵심은 구조적인 변화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BofA)는 "일본 생명보험사(생보사)들이 자본규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일본국채(JGB)매수를 마무리 함에 따라 장기채 매입 수요가 줄어든 구조적 요인이 금리 급등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일본은행(BOJ)이 긴축 기조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본의 재정 불안과 맞물려 채권 매도세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독일도 '반긴축 시대' 진입…"재정수지 악화가 구조화될 가능성"

독일 국채(분트)도 매도세에서 자유롭지 않다. 독일 30년물 국채 금리는 이번 주 12bp 이상 올랐고, 10년물 금리도 6bp 넘게 상승(가격은 하락)했다.

로베코자산운용의 필립 맥니콜라스 아시아 전략가는 "독일의 '부채 브레이크' 철회와 유럽 전역의 재무장 움직임이 유럽긴축정책의 종말과 역내 성장 가능성 회복을 암시하며 이번 매도세의 촉매가 되었다"고 분석했다.

미즈호 증권의 바라탄은 "독일 분트는 구조적으로 재정적자가 확대될 가능성에 따라 추가 압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신흥국은 예외…中·印 금리 소폭 하락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은 CNBC에 "지금 시장은 장기채에 대한 애정이 거의 없다"며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는 장기채에 특히 치명적이며, 단기채는 중앙은행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장기채는 경제에 대한 기대 심리에 더 민감하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신흥국 국채는 예외적으로 수익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맥니콜라스는 전략가는 "인도와 중국의 국채 시장은 내수 중심 성격이 강하고 자본 통제 정책이 있어 글로벌 자금 흐름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설명했다.

인도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이번 주 약 2bp 하락했으며, 중국의 10년물 수익률도 소폭 내렸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