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저가매수 운집' 유나이티드헬스, 아직 기회? 반등 벌써 끝?

코투선 0 0

이 기사는 5월 20일 오후 4시2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의료보험 회사이자 헬스케어 업체인 유나이티드헬스(종목코드: UNH)를 둘러싸고 저가매수세가 운집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실적과 경영 불안으로 인해 계속 하락해 급기야 낙폭을 최고가 대비 6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확대하자 투자자 사이에서 이른바 '낙폭 과대' 인식이 들어섰다.

◆60%가량 '털썩'

유나이티드헬스의 주가는 현재 315.89달러(19일 종가)로 전날 종가보다 8% 급등했다. 지난주 16일 6% 상승에 이어 2거래일째 급반등을 이어간 셈이다. 유나이티드헬스 주가는 지난주 15일까지 작년 11월 최고가 620.21달러 대비 낙폭을 56%로 확대한 상태였다. 이날까지 이틀 연속 반등했다지만 최고가 대비 낙폭이 아직 49%로 반토막 수준이다.

17478147544301.jpg

유나이티드헬스 주가가 폭락 같은 하락세를 연출한 것은 단일 악재와 일부 구조적 문제가 결합했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첫째 작년 12월 최고경영자(CEO) 피살 사건이 되레 회사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한 게 시발점이다. CEO 피살은 유나이티드헬스의 보장 거부 관행에 대한 분노가 그 동기로 추정됐고 오히려 그 동기가 대중의 공감을 샀다.

둘째 악재는 지난 1월 공개한 작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의 부진이다. 당시 회사의 연간 순이익은 2019년 이후 최저치로 파악됐는데 특히 의료비 지급률(=[의료비 지급액÷보험료 수입]×100%)이 85.5%로 2023년 83%에서 급증한 것으로 보고돼 비용 우려를 불렀다. 셋째는 비용 우려를 더 부채질한 올해 2월 체인지헬스케어(2021년 인수한 치료비 청구 시스템 회사)의 랜섬웨어 피격이다.

넷째는 지난 4월 발표한 올해 1분기분 결산 발표에서 연간 실적 가이던스의 하향이다. 다섯 번째는 CEO 피살 사건 뒤 새로 부임한 후임자의 사임과 올해 실적 연간 가이던스 완전 철회(이달 13일)다. 여섯 번째는 이달 앞선 미국 법무부의 수사 보도(이달 15일)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법무부가 2014년부터 유나이티드헬스의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청구 관행'에 대해 수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수사 소식이 CEO 사임과 가이던스 철회와 맞물리며 불안감이 고조했다.

*메디케어 어드밴티지(MA)는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전통 메디케어(65세 이상의 고령자와 특정 장애를 가진 65세 미만 사람을 위한 건강보험 프로그램) 대신 민간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제도다. 정부는 각 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보험사에 지불하는 금액을 조정하는데 유나이티드헬스가 의사에게 환자의 실제 상태보다 더 심각한 질병으로 진단하는 소위 '업코딩' 관행을 유도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1747814754764.jpg
유나이티드헬스케어 건물 [사진=로이터 뉴스핌]

유나이티드헬스의 매출액에서 건강보험 사업(유나이티드헬스케어)이 차지하는 비중은 75% 정도(사업부별 중복 매출 포함)다. 건강보험 사업은 일반 개인과 고용주를 대상으로 '고용주·개인'과 메디케어 가입자와 은퇴자를 대상으로 하는 '메디케어·리타이어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메디케어·리타이어먼트의 비중이 47%가량이다. 따라서 정부의 MA 정책이나 관련 비용의 증가는 회사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가매수론, 왜I

다면적인 악재에 직면한 유나이티드헬스에 대한 저가매수론은 회사의 장기적인 경쟁우위력은 불변이라는 전제가 깔렸다. 유나이티드헬스는 단순히 대형 보험사 수준을 넘어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의 핵심 인프라로 기능 중이다. 사실상 정부 정책의 집행 파트너 역할을 하는 만큼 이에 따르는 장기적인 안전성을 바탕으로 현재 위기는 일시적인 사안으로 넘길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다.

17478147551173.jpg
유나이티드헬스케어 간판 [사진=로이터 뉴스핌]

당장 미국 건강보험 시장에서 유나이티드헬스의 입지는 대체 불가능이라는 평가가 많다. 유나이티드헬스는 작년 MA(매출 비중 시장에서 94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해 29%의 점유율로 1위를 했다. 휴마나와 함께 전체 MA 가입자의 절반가량(47%)을 차지한다. 미국에서 MA 가입자는 메디케어 수혜 적격자의 54%다. 또 체인지헬스케어를 통해 미국 의료 청구(의사가 환자를 치료한 뒤 보험사에 치료비 청구)의 3분의 1을 처리하는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다.

반등론자들은 이런 전제에서 투자자들이 최근 상황에 대해 과민반응 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팁랭크스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의견에 따르면 '매우 비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올해 연간 주당순이익은 20달러 초과(작년 27.66달러)가 전망된다고 한다. 기본적인 이익 창출능력은 여전히 견고하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현재 회사의 주가수익배율(PER, 포워드)은 13.2배로 최근 10년 중 2번째로 낮다. 지난주 15일은 11.2배까지 떨어져 2020년 3월의 11.8배를 뚫고 10년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회사 임원들의 지난주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집중적으로 발생한 주식 매입 소식이 반등론자들의 자신감을 북돋는다 스티븐 헴슬리 현 CEO를 포함한 임원 5명은 유나이티드헬스의 주식을 대량 매입한 것으로 파악됐는데 지난주 14일 헴슬리 CEO는 8만6700주, 총 약 2500만달러(단가 약 288.18달러)를 매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저가매수론자 사이에서 경영진의 회사 강력한 내재가치에 대한 확신의 신호로 읽혔다.

유나이티드헬스의 현금 창출력은 업계 상위권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연간 잉여현금흐름(FCF)은 200억달러선에서 유지됐다. 작년은 20% 가까이 감소했지만 207달러로 5년 추이를 유지했다. 또 매출액 대비 FCF를 뜻하는 FCF 마진은 6.6%로 업계 평균보다 높다. 역사적 저점의 밸류에이션과 결합된 견고한 현금창출력은 상등한 반등을 끌어낼 동력이 된다는 게 반등론자들의 주장이다.

▶②편에서 계속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