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KDI, 5개월째 韓 경제 하방 위험 경고…"내수 회복 지연·수출 부진"

코투선 0 2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5개월째 우리 경제의 하방 위험을 경고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 여파로 대외 통상 여건이 악화되고, 건설업 부진이 내수 회복을 제약하면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이달 들어서는 기존의 '위험 가능성' 언급을 넘어, 실제 경기 둔화를 뒷받침하는 구체적 지표들이 포착됐다고 진단했다. 반도체 중심의 제조업 호조에도 불구하고 건설 투자 급감과 소비 심리 위축, 수출 증가세 둔화 등 실물 지표 전반에서 부진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 생산·투자 모두 둔화…美 트럼프 '관세 전쟁' 수출 영향 가시화

KDI는 12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경기 둔화를 시사하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며 "건설업 부진이 내수 회복을 제약하는 가운데, 통상 여건 악화로 수출도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통상 여건 악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로 향후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이 대폭 하향 조정됐고,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도 확대되며 대내외 경제 심리가 위축됐다"고 짚었다.

17470218585745.jpg
산업별 생산지수 [자료=한국개발연구원] 2025.05.12 [email protected]

앞서 KDI는 지난 1~4월에도 우리 경제에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줄곧 이어진 국내의 정치적 혼란에 더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전쟁을 주도하면서 대외 불확실성을 더욱 끌어올렸다는 판단이다. 이런 평가가 5월 보고서까지 다섯 달 연속 이어진 가운데, 이번에는 경기 둔화 현실화를 시사하는 표정으로 진단 강도를 높였다.

KDI는 경기 하방 위험 증대의 가장 큰 배경으로 '건설업 부진'과 '수출 둔화'를 꼽았다. 건설업 부진이 내수 회복을 제약 중인 상황에서 통상 여건 악화로 수출마저 둔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3월 전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하는 데 그치며 전월과 유사한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중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26.8%)와 전자부품(8.5%) 오름세에 힘입어 5.3%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 생산은 -14.7%로 부진이 지속됐고, 서비스업 생산 증가율도 0.7%에 그쳤다.

제조업 생산이 확대되면서 평균 가동률은 73.2%에서 74.9%로 상승했지만, 제조업 출하에서 내수 출하는 0.4% 감소했다. 수출 출하만 2.6% 늘면서 전체 출하 증가율(0.9%)을 이끌었다.

같은 달 설비투자는 반도체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1% 성장하면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제조용 장비 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68.2% 급증했다. 다만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높게 유지되면서 향후 설비 투자 개선을 제약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건설투자는 -14.7% 줄면서 큰 폭의 감소세를 이어갔다.

17470218589459.jpg
총수출·일평균 수출 및 수출물량지수 [자료=한국개발연구원] 2025.05.12 [email protected]

건설업 부진에 더해 수출 둔화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소폭 증가했으나,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0.6% 감소해 전월(5.3%) 대비 둔화됐다. 수입은 -2.7% 줄었고, 무역수지는 48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관세 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점차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미국 수출은 -10.6%로 크게 감소했고, 이 중 관세율이 대폭 인상된 미국향 자동차(-20.7%)와 철강(-11.6%)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KDI는 "ICT를 제외한 품목의 부진이 지속되고, 미국 관세 인상의 영향이 가시화되며 수출이 둔화되는 양상"이라며 "국가별로 보면 일평균 기준으로 미국을 제외한 국가로의 수출은 1.9% 증가했지만, 대미국 수출은 대폭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 소비 부진 장기화·서비스 소비 하락세…글로벌 통상 여건 '경고등'

내수·고용 등 다른 주요 지표들도 모두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3월 소매판매는 1.5% 증가했으나, 이는 승용차(10.0%) 판매 증가 영향이 컸다. 승용차를 제외하면 소매판매 증가율은 0.5%에 불과한 데다, 1분기 누적으로는 1.0% 감소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4월 93.8로 전월(93.4)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기준치(100)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서비스 소비는 숙박·음식점업(-3.7%)과 교육서비스업(-1.3%),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0.7%) 등에서 모두 줄었다. 소비와 밀접한 주요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어드는 양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7470218593151.jpg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수입물가 및 환율 [자료=한국개발연구원] 2025.05.12 [email protected]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1% 상승해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두바이유 가격 하락으로 석유류 물가는 -1.7%를 기록했지만, 환율 상승 영향으로 인해 가공식품(4.1%)과 보험서비스료(16.3%) 등은 상승 폭이 확대됐다. 근원물가도 2.1%로 전월(1.9%)보다 소폭 상승했다.

고용 역시 건설업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둔화 흐름을 지속 중이다. 3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19만3000명으로 전월(13만6000명)보다 늘었으나,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2000명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건설업(-18만5000명)과 제조업(-11만2000명)에서 크게 줄었고, 서비스업은 도소매·숙박음식업(3만명) 등에서 개선됐다.

고용률이 정체된 가운데, 청년층을 중심으로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6.6%로 전월 대비 0.3%포인트(p)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2.9%로 집계됐다.

KDI는 "계절조정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모두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지만, 실업률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상승했다"며 "업황이 좋지 않은 건설업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낮은 증가폭을 기록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17470218596648.jpg
주요 산업별 취업자 증감, 주요 고용지표 [자료=한국개발연구원] 2025.05.12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