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중화권 증시 소비섹터 新 투자방향, 총아로 떠오른 '굿즈경제'

코투선 0 2

이 기사는 5월 2일 오전 12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중국 본토 A주 시장의 인기 투자방향으로 소비주의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굿즈경제'가 소비산업 중 높은 성장세가 기대되는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굿즈(Goods)경제'란 ACGN(애니메이션∙만화∙게임∙소설) 등 지식재산권(IP) 제품과 관련한 서브컬처 콘텐츠에서 파생된 경제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Z세대의 젊은 소비자층이 팬덤을 형성해 굿즈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높아 좋아하는 제품을 오랜 기간 선호하며, 소비를 아끼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생명력을 기대할 수 있는 산업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굿즈경제 테마주에 대한 시장의 높아진 관심은 최근 지난해 최저점 대비 1000% 이상 폭등한 급등주의 탄생으로 방증된다. 그 주인공은 중국 트렌디 토이 선두기업 '팝마트인터내셔널그룹(POP MART, 9992.HK, 이하 팝마트)'다.

팝마트를 중심으로 중국 굿즈경제 산업의 성장성을 진단해보고, 최근 A주에서 주목받고 있는 굿즈경제 테마주들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17462424573026.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5.02 [email protected]

◆ 주가 1000% 폭등, 中 선두주자 '팝마트'

홍콩증시에 상장된 팝마트는 굿즈경제 테마주를 대표하는 종목이다. 최근 굿즈경제 테마주 최초로 1000%(10배)에 가까운 누적 주가 상승폭을 기록한 종목으로 이슈가 되며 다시금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4월 29일 최신 종가 기준 팝마트의 주가는 지난해 최저점 대비 974%, 올해 들어서만 130% 상승했다. 팝마트의 주가 곡선을 살펴보면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10년 설립된 이후 초기 탐색기, 가속 성장기를 거쳐 현재 다원화 발전기로 진화해왔다. 10여 년간의 IP 발굴, 운영 및 채널 구축을 통해 종합 경쟁력을 보유한 중국 차세대 트렌디 토이 선두 기업으로 성장했다.

팝마트는 트렌디 토이 IP 전체 산업체인을 아우르는 종합 운영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사업 영역은 IP 인큐베이팅 및 운영, 트렌디 토이(피규어 랜덤박스와 캐릭터 파생상품) 소매, 테마파크와 체험,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를 포함한다.

특히 '키덜트(아이들 같은 감성과 취향을 지닌 어른)' 제품 산업의 발전을 이끈 랜덤박스 경제를 선도한 대표 기업으로 꼽힌다. 랜덤박스란 다양한 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해 상자에 넣어서 파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랜덤뽑기, 럭키박스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랜덤박스 경제는 굿즈경제보다 일찍 구축되기 시작해 현재 꽤 큰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한 상태다. 2019년 중국 국내 랜덤박스 산업 규모는 74억 위안이었고, 2024년에는 3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17462424576733.jpg
[사진 = 팝마트인터내셔널그룹 공식 홈페이지] 2024년 11월 5~10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7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 마련된 중국 트렌디 토이 선두기업 '팝마트인터내셔널그룹(POP MART, 9992.HK, 이하 팝마트)' 전시 부스 전경.

◆ '3대 성장동력'이 이끈 화려한 1Q 성적표

최근 팝마트가 재평가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우수한 실적 달성을 통해 입증된 견고한 펀더멘털(기초체력)이다.

4월 22일 팝마트의 홍콩증권거래소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수익은 2024년 1분기 대비 165~170% 늘었다. 시장 별로 중국시장과 해외시장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각각 95~100%와 475~480%로, 해외시장에서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준다. 유통∙판매 채널 별로는 중국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채널을 통한 수익 성장률이 각각 85~90%와 140~145%를 기록했다. 해외국가 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345~350%, 미주 895~900%, 유럽 600~605%로 미주 지역에서의 수익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줬다.

팝마트의 1분기 핵심 수익 지표들 대부분은 시장의 전망을 훨씬 웃도는 성적을 거뒀다.

구체적으로 2025년 1분기 영업수익(매출)은 130억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9% 늘었고, 조정 후 순이익은 34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5.9% 성장했다.

팝마트의 성장동력은 크게 3가지로 △우수한 IP 발굴 △다양하면서도 혁신적인 유통∙판매 채널 배치가 내수 기반을 공고히 하는 가운데 △해외 진출 가속화를 통해 제2의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우선, 팝마트의 핵심 수익원인 IP 사업은 팝마트를 포함한 트렌디 토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다. 팝마트는 성숙한 외부 아티스트 발굴 모델, IP 인큐베이팅 및 설계를 담당하는 PDC(POP Design Center) 팀을 통해 차별화된 가치와 풍부한 내용을 가진 혁신적인 IP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동시에 다양한 제품 창작과 풍부한 콘텐츠 마케팅을 통해 IP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명 주기를 연장하고 있다.

유통∙판매 채널 측면에서 회사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소매점, 온라인 전자상거래와 혁신적인 오프라인 로봇 매장, 자체적인 온라인 뽑기 플랫폼을 결합한 모델을 통해 소비자와의 밀집도와 접촉 빈도를 높였다. 2023년 이후 각 채널은 모두 강력한 회복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해외시장에서의 성장세다.

2021년부터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한 해외 사업을 도매에서 오프라인 소매로 전환하고 있고, 현지화된 혁신적인 IP와 제품을 통해 현지에서의 브랜드 영향력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 2022년 이후 회사의 해외 사업 수익은 가속 성장하여 현재 해외사업 매출이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한다.

왕닝(王寧) 팝마트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2025년 한 해 동안 50% 이상의 성장률로 매출액 200억 위안을 돌파할 자신이 있다"면서 "특히 해외시장에서 전년 대비 100% 이상 늘어난 100억 위안 이상의 매출을 거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가 10배↑, 굿즈경제 리더 '팝마트'② 美 관세장벽 돌파구는?>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