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종합] 애플, 기대이상 매출 불구 서비스 부문 실망…시간 외서 2% 반락

코투선 0 4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애플이 월가 전망치를 근소하게 웃돈 실적을 공개했지만, 서비스 부문 부진으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는 2% 넘게 떨어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애플은 회계연도 2분기 순이익이 247억 8000만달러, 주당 1.65달러로 1년 전의 236억 4000만 달러, 주당 1.53달러보다 개선됐다고 밝혔다. LSEG가 집계한 주당순이익 1.63달러도 상회한 결과다.

이 기간 애플 매출은 954억 달러로 LSEG 집계 전망치 946억 6000만 달러보다 많았다.

아이폰 매출은 468억 4000만 달러로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집계한 458억 4000만 달러를 웃돌았고, 아이패드 매출은 64억 달러로 역시 전망치 62억 달러를 상회했다.

웨어러블, 홈, 액세서리 부문 매출은 75억 2000만 달러로 스트리트어카운트 집계 전망치 79억 5000만 달러에 못 미쳤고, 서비스 부문 매출은 266억 5000만 달러로 월가 전망치 267억 달러를 하회했다.

애플의 매출 총이익률은 41.7%로 스트리트어카운트 전망치 47.1%에 크게 못 미쳤다.

애플은 대개 컨퍼런스콜에서 분기 실적 전망에 대한 수치를 제공하는데, 월가는 이번 컨콜에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어떤 대응책을 갖고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현재 애널리스트들은 3분기 가이던스로 주당순이익 1.48달러, 매출 894억 5000만 달러를 점치고 있다.

앞서 쿡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애플이 이미 미국 시장용 아이폰의 약 절반을 인도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용 다른 대부분의 제품은 관세가 중국보다 낮은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국가용 제품의 '대다수'는 여전히 중국에서 생산된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도 애플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이폰 생산을 인도로 이전해 관세 영향을 완화하려고 시도할 것이라면서, 애널리스트들은 애플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일부 관세 비용을 분산시키면서도, 시장 점유율을 잃지 않기 위해 가격 인상은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 중이라고 전했다.

이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쿡 CEO는 2분기 초와 말의 아이폰 재고 수준이 비슷해 이 기간 동안 대규모 재고 축적은 없었다고 밝혔고, 애플 최초의 맞춤형 모뎀 칩을 탑재한 599달러 중가형 제품인 아이폰 16e가 판매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정규장서 0.39% 오른 213.32달러로 마감된 애플 주가는 실적 공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2% 넘게 반락 중이다.

1746133564136.jpg
인도 뉴델리에 있는 애플 매장 앞에서 대기 중인 보안요원 [사진=블룸버그통신]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