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주도 올트먼-나델라 밀월 관계 위태, 치명타 번지나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의 양대 축으로 통하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FT) 최고경영자의 갈등이 점차 고조, 세간에 관심을 끌고 있다.
올트먼은 한 때 'IT 업계 최고의 파트너십'이라고 말했던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관계가 갈수록 어긋나는 모양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에 제공하는 컴퓨팅 파워와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제공하는 AI 모델 접근권 등 굵직한 사안들을 놓고 양측 수장들 사이에 긴장감이 두드러진다.
올트먼이 오픈AI의 AI 시스템이 곧 인간 수준의 지능에 도달할 것이라고 자신한 데 대해 나델라가 쓴 소리를 뱉으면서 양측의 반목과 대립이 분명하게 확인됐다.
문제는 양사가 서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서로 등을 돌리는 두 AI 브레인이 기술 개발 측면에서 '마이 웨이(my way)'를 선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치명적인 타격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경고가 월가를 긴장시킨다.
◆ 위기 맞은 밀월 관계 = 올트먼과 나델라의 첫 만남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 간다. 그 해 여름 아이다호에서 투자은행(IB) 알렌 앤 코 주최로 열린 투자 컨퍼런스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두 사람의 인연은 상상할 수 없었던 관계로 발전했다.
이미 알려진 대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수 차례에 걸쳐 오픈AI에 130억달러를 투자했고, 오픈AI 역시 파트너십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늙어가는 IT 업체에서 첨단 AI 주도 기업으로 부상하는 데 힘을 실었다.
한 때 마이크로소프트의 시가총액이 세계 1위에 랭크됐던 것도 오픈AI와 파트너십이 한 몫 했다고 월가는 말한다.
![]() |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 |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6년간 막대한 투자를 통해 AI 스타트업인 오픈AI의 성장을 크게 촉진시켰다. 오늘날 오픈AI의 챗GPT가 주간 사용자 5억명에 이른 데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자금줄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오픈AI도 마이크로소프트에 최첨단 생성형 AI 도구들을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가 세 배 뛰는 데 힘을 실었다.
◆ 주요 사안들 곳곳 파열음 = 밀월 관계를 보내던 양측이 삐걱거리기 시작한 것은 나델라가 올트먼 모르게 무스타파 술래이만 영입에 나서면서 부터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판단한다. 구글의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 세 명 중 한 명인 술래이만은 올트먼의 경쟁자로 알려져 있다.
![]() |
지난달 한국을 방문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뉴스핌DB] |
나델라는 수 차례의 만남과 설득 끝에 그를 설득했고, 술래이만과 그의 스타트업 인플렉션의 동료들을 영입하기 위해 6억5000만달러를 지불했다.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술래이만은 당시 오픈AI의 최신형 GPT-4와 경쟁할 수 있는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뛰어들었다.
출발은 순조롭지 않았다. 초기 모델 훈련 과정에 오픈AI의 모델과 견주기 어렵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 대한 의존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지적 재산권 공유에 관한 한 회의에서는 술레이만이 당시 최고기술책임자(CTO)였던 미라 무라티를 포함한 오픈AI의 고위 경영진들 앞에서 업체의 변호사들에게 소리를 질렀다는 소식도 들렸다.
오픈AI가 추진중인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가진 AI 모델 개발도 양측이 충돌하는 부분이다. 양측의 협약에 따르면 오픈AI의 이사회는 인간과 같은 수준의 지능을 가진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면 마이크로소프트와 관계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갖도록 돼 있다.
올트먼은 자신이 이끄는 팀이 조만간 그만한 기능을 가진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식통에 따르면 비공개 협상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협상가들은 오픈AI에 아직 이 같은 기술이 임계점에 전혀 이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나델라는 지난 2월 한 팟캐스트에서 올트먼이 그러한 이정표를 선언한 데 대해 '의미 없는 벤치마크 해킹'이라며 깎아 내렸다. 소식통들은 오픈AI의 경영진들이 나델라의 발언에 어이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고 전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에 제공하는 컴퓨팅 파워 지원과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제공하는 최첨단 칩에 대한 기술적 접근성도 마찰을 일으키는 대목이다.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여름 오픈AI가 '스트로베리'라는 코드명의 강력한 새 추론 모델의 코드를 신속하게 넘겨주지 않는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오픈AI 측은 모델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했다는 입장이다.
나델라는 오픈AI의 챗GPT와 경쟁 관계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판매와 사용 확대에 사활을 거는 움직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나델라와 올트먼이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빈도가 크게 줄었고, 일주일에 한 차례씩 예정된 통화로만 소통하는 상황이다.
◆ 관계 악화의 끝은 =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는 야심찬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위한 협상을 벌였지만 소식통에 따르면 보류된 상태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타게이트 발표 자리에 함께한 래리 엘리슨 오라클 CEO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블룸버그] |
지난 2023년 11월17일 오픈AI 이사회는 올트먼을 최고경영자 직에서 갑작스럽게 해임했다. 그가 이사회와 일관되고 솔직하게 소통하지 않았다는 것. 이사회는 당시 최고기술책임자(CTO)였던 무라티를 임시 최고경영자로 임명했다.
해임 불과 5일 후 이사회는 올트먼을 최고경영자로 복귀시켰고, 이 과정에 이사회 구성원이 대부분 교체된 한편 마이크로소프트가 비투표권 옵저버 지위를 확보하게 됐다.
주요 외신들과 소식통은 당시 사건이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보류의 원인이 됐다고 말한다. 또 이후 올트먼이 외부 투자자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리고 1월 올트먼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및 래리 엘리슨 오라클 공동 창업자와 함께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등장, 최대 5000억달러 규모의 이른바 스타게이트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본래 올트만과 나델라가 함께 추진하려고 했던 계획과 매우 흡사하다고 입을 모은다.
월가와 IT 업계는 올트먼과 나델라의 갈등이 가져올 결과물에 신경을 곤두세운다. AI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이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양측이 서로 치명타를 가하는 사태를 빚을 수도 있다는 경고가 고개를 들었다.
소식통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실상 오픈AI가 독립적인 영리 기업으로 구조를 재편하는 데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구조 전환이 2025년 말까지 이뤄지지 않으면 오픈AI는 수백 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 같은 위협이 현실화되면 오픈AI의 이사회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최첨단 기술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계약 조항을 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업체의 AI 기술 개발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소식통과 외신은 오픈AI 관계자들은 이미 지난해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