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러 "필요 시 北에 군사원조" 공식화…푸틴, 북한 병력 지원에 감사

코투선 0 2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러시아가 필요할 경우 북한에 군사원조를 제공할 수 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해 체결된 북러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에 따른 것으로, 러시아와 북한이 상호 방위 체계를 구체화하는 모양새다.

리아 노보스티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에 북한 군사들이 참여한 것은 지난해 체결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의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라고 전했다. 그는 "이 조약에 따라 (러시아도) 필요할 경우 북한에 군사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17458419552283.jpg
지난 6월 19일 북한 평양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서명식 후 악수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6월 개최된 평양 정상회담에서 북·러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 4조에는 "쌍방 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로부터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러시아연방의 법에 준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페스코프 대변인의 이날 발언은 푸틴 대통령이 북한 병력의 전투 지원에 대해 직접 감사를 표한 직후 나왔다. 푸틴은 북한이 파견한 병력이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데 기여한 것에 대해 "북한의 희생과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고 치하했다.

북한 역시 파병을 공식 인정했다.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27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에 공개한 입장문에서 "국가수반(김정은 위원장)의 명령에 따라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에 참전한 우리 무력 구분대들은 높은 전투정신과 군사적 기질을 남김없이 과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북러 간 군사 협력 강화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북한 병력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실제로 참전한 사실이 공식화되면서, 미국과 한국 등 주요국의 안보 우려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페스코프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접촉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