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프리뷰, 관세 경계감 속 차익 실현에 일제 하락...구글·메타↑ VS 인텔·T모바일↓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25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 개장 전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등 다소 유화적인 입장을 보였음에도 미·중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투자자들이 최근 주가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에 나서고 있다.
미국 동부시간 기준 오전 9시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보다 145.00포인트(0.36%) 내린 4만117.00에 거래 중이다. S&P500 선물은 8.00포인트(0.15%) 하락한 5,503.25, 나스닥100 선물은 43.25포인트(0.22%) 내린 1만9,278.75를 가리켰다.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미중 국기 |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22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시진핑 주석이 나에게 전화를 걸었다"며 "양국 간 관세 합의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이어 "1년 뒤에도 미국이 외국 수입품에 50%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승리"라며 기존의 강경한 무역 기조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중국이 일부 미국산 반도체 등에 대해 최대 12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면제했다는 소식에 따른 시장 낙관론을 일부 상쇄시켰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이날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을 인용해 "(관세 품목 분류 기준) 8종의 미국산 반도체 관련 제품에 대해서는 기존 125%에 달했던 추가 관세 조치가 해제됐다"며 "다만 메모리 반도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추가 관세 조치가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시장은 최근 미국과 중국 양국이 모두 무역전쟁의 파장을 우려하는 신호를 내보이고 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동성, 경기 둔화 조짐, 기업 실적 악화 우려 등으로 인해 경계심을 놓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AJ 벨의 러스 몰드 투자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에 시장이 언제든 반전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지금 이 순간만큼은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는 고요한 국면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관세가 완전히 사라지진 않겠지만, 무역전쟁이 다소 완화된다면 금융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미중 국기 |
주요 지수는 전날까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4월 2일 '미국 해방의 날' 선언 이후 가장 좋은 흐름이다. S&P500 지수는 이번 주 들어 3.8% 올랐으며(24일 종가 기준), 나스닥은 5.4%, 다우는 2.4% 각각 올랐다. 월가의 대표적인 공포 지수인 CBOE 변동성 지수(VIX)도 이달 3일 이후 최저치로 하락하며 안정된 투자 심리를 반영했다.
최근의 주가 반등은 일정 부분 빌렸던 주식을 갚기 위해 공매도한 주식을 다시 사는 투기 세력의 '숏커버링'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소시에테제네랄은 "숏커버링이 주가를 떠받치는 배경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여전히 S&P 500 지수는 4월 2일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2월 고점 대비 10% 이상 낮은 상태다.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종목명:GOOGL)의 주가가 4%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며, 인공지능(AI) 관련 대규모 투자에 대한 우려를 완화했다. ▲메타 플랫폼스(META) ▲핀터레스트(PINS)도 각각 2% 동반 상승하고 있다.
반면 ▲인텔(INTC)은 암울한 실적 전망에 개장 전 주가가 7% 급락하고 있으며, ▲T모바일(TMUS) 역시 무선 가입자 수 증가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주가가 6% 넘게 빠지고 있다.
다음 주에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함께, 연방준비제도(Fed)가 주시하는 물가지표인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발표 등 굵직한 이벤트들이 예정돼 있어, 시장 향방을 가를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