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②'정책 호재 긍정론' vs '관세 변수 신중론'...'의약바이오' 향방은?

코투선 0 15

이 기사는 4월 24일 오전 11시2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정책 호재 긍정론' vs '관세 변수 신중론'① '의약바이오' 향방은?>에서 이어짐.

◆ 각종 지원책 지속 등장 '가장 강력한 성장동력'

올해 들어 중국 당국이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는 각종 지원책들은 의약바이오 산업의 긍정론에 힘을 실어주는 핵심 배경이 되고 있다.

지난 3월 26일 의약품 집중 구매 작업 최적화에 관한 토론회 통지 스크린샷과 함께 '의약품 집중 구매 정책의 추가 최적화 방안(의견 수렴안)'이라는 문서가 업계에 확산됐다. 여러 인터뷰 대상자들이 "신뢰도가 높다"고 평가한 해당 수렴안은 '집중 구매 품목 및 입찰 기업 진입 기준', '수량 보고, 경쟁 입찰 등 구매 규칙', '수량 배분 규칙', '최적화된 이행 조치' 등 여러 측면에서 집중 구매 정책에 대한 최적화 방향을 제시했으며, 이는 곧 다가올 제11차 집중 구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소식에 따르면 2025년 의료보험 협상이 2분기에 시작될 예정이며, 올해부터 의료보험 약품 목록 조정 시기가 다소 앞당겨져 4월 1일부터 신청을 개시해 9월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당국은 2025년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최초로 '혁신 신약 목록 제정'을 제안하고, C등급 목록의 경우 임상적 가치는 높지만 아직 기본 의료보험에 포함되지 않은 혁신 신약(예를 들면 CAR-T, ADC)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명시했다.

'의료보험국 주도 + 상업보험 협상 가격 책정' 메커니즘을 통해 상업보험사가 제약회사와 직접 가격을 협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의료보험은 기본 신약을 보장하고, 상업보험은 고급 신약을 보완하는' 다원화된 지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고가의 혁신 신약 지불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혁신 신약 업계에 있어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매우 중대한 호재다.

오랫동안 혁신 신약은 엄청난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높은 가격이나 의료보험 지불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아 충분한 환자 수를 확보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제약회사의 일부 혁신 신약 상용화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올해 정책 측면에서 일부 혁신 신약을 의료보험에 포함시키는 경로를 개척한 것은 혁신 신약이 수년간 겪어온 상용화 난관을 해결하는 길을 열어준 것이며, 제약회사들이 더 나은 상용화를 실현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게 해주는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몇 년간 국가 의료보험 목록이 정기적으로 조정되면서 혁신 신약이 출시부터 의료보험에 포함되기까지의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고, 신약이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줬다. 특히, 2024년 국가 의료보험 목록에 포함된 글로벌 신규 혁신 신약의 수가 최고치를 기록하며, 혁신 신약 기업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성장 촉진제가 됐다.

여기에 최근 전국 여러 지방 정부는 의약 산업 인수합병을 통한 발전을 장려하는 유관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는 동시에, 의약 산업 기금에 관한 계획도 공개하며 의약바이오 산업을 둘러싼 성장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대표적으로 올해 4월 7일 베이징(北京)시는 '베이징시 혁신 의약 고품질 발전에 관한 일련의 조치(2025년)'를 발표하고 500억 위안 규모의 의약 건강 산업 기금 구축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같은 날 선전(深圳)시도 혁신 신약 발전을 지원하는 중요한 문서를 발표했다. 선전시 발전개혁위원회 등 유관 부서는 '선전시 전체 체인 의약품 및 의료기기 발전 지원을 위한 일련의 조치'를 발표했다. 골자는 혁신 제품 응용 확대 지원이다. 혁신성이 강하고, 치료 효과가 확실하며, 임상에서 시급히 필요한 혁신 의약품과 의료기기가 병원에 들어가고 의료보험에 포함되도록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 '인수합병 랠리'…1+1>2 효과 기대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이후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는 기업간 인수합병(M&A) 및 구조조정 랠리에 있어 의약바이오 기업들의 주도적 역할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의약바이오 섹터를 둘러싼 호재성 이슈 중 하나다.

의약산업 데이터 제공업체 팜큐브(醫藥魔方∙PharmCube)에 따르면 중국 혁신 의약품 시장에서 이뤄진 인수합병 건수는 2024년 11월말 기준 20건으로 앞서 2년간 건수를 합친 것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거래액은 58억8200만 달러로 앞서 3년간(2021~2023)의 거래 총액을 넘어섰다.

17455350530261.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4.24 [email protected]

대표적으로 화윤삼구제약(000999.SZ), 천금제약(600479.SH), 샌슈어 바이오테크(Sansure Biotech 688289.SH) 등 다수의 기업들이 인수합병 관련 소식을 발표한 상태다.

기업간 인수합병과 구조조정 랠리는 지난해부터 본격화됐다. 지난 9월 24일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최로 베이징에서 열린 '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금융지원에 관한 기자간담회'에서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는 '상장사 인수합병 및 구조조정 시장 개혁 심화에 관한 의견(이하 인수합병 6개 조항)'을 발표했다. 인수합병 6개 조항은 구조조정 심사 절차를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인수합병 및 구조조정 시장을 활성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수합병과 구조조정은 기업의 경쟁력을 빠르게 확대할 수 있는 촉매제로 작용하는 동시에 국가적 차원에서도 산업 전환 및 업그레이드, 자본시장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당국이 국유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년간 추진하고 있는 '국유기업 개혁'의 일환이라는 점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의 인수합병과 구조조정은 중국 당국의 핵심 정책방향으로 자리잡았고, 향후 중국 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지속되는 가운데 관련 기업의 수혜가 예상된다.

◆ 의약바이오 전환점 도래? '낙관론 vs 신중론'  

최근 시장에서는 오랜 기간 조정기를 겪은 의약바이오 섹터가 전환점을 맞이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는 다수의 증권사와 기관들이 제시하는 혁신 신약 산업 회복에 대한 낙관론이 배경 중 하나로 작용한다. 

민생증권(民生證券)은 중국 본토 의약 혁신이 점차 수확기에 접어들고 글로벌화 과정이 가속화되고 있어, 의약 혁신 주요 투자노선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의약 섹터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약 소비에 대한 전망이 밝다고 진단했다.

국금증권(國金證券)은 혁신 신약과 일부 복제의약품(제네릭) 신약이 계속해서 투자 배치의 최우선 순위이며, 상업 보험 정책 변화, 집중 구매 및 국가 협상 기대치 달성, 그리고 미국암연구학회(AACR)과 미국임상종약학회(ASCO)의 데이터 발표가 계속해서 후속적인 주가 상승의 촉매 작용을 해줄 것으로 내다봤다.

동해증권(東海證券)은 최근 여러 혁신 신약 상장 기업들이 발표한 실적 데이터가 우수하고, 산업 정책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혁신 신약 부문에 대한 관심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 관세 압박 속 중국 의약산업이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점에서 신중론에 가까운 의견도 나온다.

중신건투(中信建投)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이번 미국의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에서 의약품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관세 정책 리스크가 의약 산업 체인에 미칠 영향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여전히 변수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현 시점에서는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 혁신 신약 산업, 자주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의료기기, 혈액제품의 국내 점유율 상승 속 포착할 기회, 내수 중심의 중의약, 약국 및 유통 등 관세와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분야에서 투자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 볼 때 해외 진출은 여전히 의약 기업의 중요한 전략적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해외 진출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성장의 기회를 낙관했다.

17455350534232.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4.24 [email protected]

국신증권(國信證券)은 AI와 의료산업의 결합 영역에서 발굴할 투자기회에 집중했다.

중국 국내 의료자원 부족으로 AI 의료영상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AI 의료영상 제품의 규제 승인 과정의 효율성이 향상됨에 따라, 중국 AI 의료영상 시장 규모는 2022년 4억6000만 위안에서 2030년 358억9000만 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72.4%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