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선종] "가난한 자, 이주민, 소수자의 친구"… 프란치스코 교황, 포용과 개혁의 12년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리오)은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권위주의를 뒤흔들며, 약자와 소수자를 위해 '열린 교회'를 만들기 위해 힘썼던 교황이었다.
비(非)유럽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교황에 오른 그는 2013년 취임 이후 재임 12년 내내 가난한 이들, 이주민, 성소수자 등 주변부에 있는 사람들의 편에 섰다.
![]() |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 22일(현지시간) 로마 바티칸의 산타 마르타 진료소에서 어린이들을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심판 대신 환대"… 교황청 문 여는 개혁 드라이브
가난한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지난 2013년 베네딕토 16세의 후임으로 선출된 프란치스코 교황은 등장부터 '파격'이었다. 즉위식에서 금으로 된 십자가 목걸이, 레이스 장식이 달린 수단(사제복) 등 전임 교황들이 입던 예복 대신 검은색 구두와 철제 십자가 목걸이, 레이스 장식 없는 수단을 선택했다. 역대 교황들이 머물던 교황궁이 아닌 바티칸 내 성직자들의 공동 숙소인 '산타 마르타의 집'에 지내며 검소한 생활을 자처했고, 공식 차량도 고급 리무진이 아닌 소형차를 택했다. "교회가 성(聖)전 안에 머물 것이 아니라 거리로 나가야 한다"는 그의 메시지는 교황직의 성격 자체를 바꾸어놓았다.
프란치스코는 취임 직후부터 교황청 내 권위주의와 기득권을 겨냥한 개혁을 밀어붙였다. 바티칸 은행 개혁, 교회 내 재정 투명성 강화, 성 학대 문제에 대한 독립 기구 설치 등이 대표적이다.
"문 닫힌 교회는 죽은 교회"… 소수자 향한 손 내밀어
그의 재임 기간 중 가장 상징적인 변화는 성소수자에 대한 교회의 입장 변화였다. 프란치스코는 2013년 7월 "만약 동성애자가 선한 의지를 갖고 신을 찾는다면 누가 과연 그를 심판할 수 있겠는가"라는 발언으로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후 2023년 12월에는 '동성 결합은 이성 간 결혼만을 인정하는 교회의 교리를 훼손하는 것이기에 동성 커플을 축복할 수 없다'는 기존 방침을 깨고 동성 커플에 대한 축복을 허용했다.
여성의 교회 내 역할 확대에도 나섰다. 여성 신학자를 바티칸 교황청 부서에 최초로 임명하고, 여성도 정식으로 독서자와 시종자(복사)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교회법을 개정했다. 다만 여성 사제 서품에 대해서는 "영원히 허용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 |
[바티칸 로이터=뉴스핌] 박진 기자=프란치스코 교황이 10월 4일(현지시간)바티칸 성베드로 성당에서 '모든 형제자매(Bratelli Tutti)'라는 이름의 새 회칙을 발표하고 있다. 2020.10.05 [email protected] |
난민과 이주민, "우리의 형제이자 자매"
교황은 유럽 내 반이민 정서가 확산되던 시기에 이탈리아의 람페두사섬을 찾아 "지중해는 무덤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눈물로 호소했다. 이후 난민 수용을 촉구하고, 시리아 난민 가족을 자신의 전용기에 직접 바티칸으로 데려오는 퍼포먼스를 벌이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호소했다.
이라크, 모로코, UAE 등 이슬람권 국가들을 직접 방문해 종교 간 화해와 연대를 시도한 것도 주목받았다. 특히 2019년 아부다비에서 아흐메드 알타예브 알아즈하르의 대이맘과 함께 서명한 '세계 평화와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한 인간의 형제애에 관한 공동 선언'은 종교 간 증오를 넘어선 새로운 교황의 외교 문법으로 평가된다.
"소외된 이들의 교회"… 유산으로 남다
교황 프란치스코는 약 80%의 교황 선출권자(추기경)를 자신이 임명한 진보 성향 인사로 채워, 향후 교회의 방향을 사실상 설계했다. "교황은 떠나도, 교황의 생각은 남는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그의 선종 소식이 전해진 뒤, 전 세계 언론과 지도자들은 한목소리로 "소외된 이들의 대변자", "행동하는 신앙인"이라며 애도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긴 유산은 여전히 뜨겁게 교회의 중심을 흔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