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中, 자국 항공사에 보잉 항공기 인수 중단 지시… 美 고율 관세에 정면 대응

코투선 0 4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들에 미국 보잉사의 항공기 추가 인수를 중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정부가 항공사들에게 보잉 기체의 인수뿐 아니라 항공기 관련 미국산 장비와 부품 구매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12일 대미 관세율을 125%로 올린 이후 이 같은 명령을 내렸다.

항공 데이터 분석 업체인 에비에이션플라이츠그룹(AFG)에 따르면 보잉 737 맥스 약 10대가 중국 항공사에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시애틀 보잉 공장 근처와 중국 저장성 저우산의 최종 조립 센터 등에 대기 중이다.

17447250619456.jpg
보잉의 737 MAX 기종 [사진=블룸버그]

다만 중국 정부가 발표한 125% 대미 관세가 본격 발효된 12일 이전에 인도 서류 작업과 지불이 완료된 항공기는 개별 심사를 통해 인수가 허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앞서 중국은 미국산 항공기와 부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는 해당 관세만으로 미국산 항공기 도입 비용이 두 배 이상 높아지며, 실질적인 수입은 불가능해졌다고 전했다. 따라서 이번 인도 중단 명령은 경제적 의미보다는 정치적·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 시장에서 보잉의 입지는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지난 2018년 기준 보잉 생산량의 25%가 중국에 인도됐으나, 2019년 737 맥스 추락 사고, 미중 무역 갈등과 2024년 도어 플러그 이탈 사고 등으로 중국 항공사들은 보잉과의 거래를 줄이며 유럽 에어버스와 자국산 COMAC C919 기종 도입을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여전히 수백 대의 보잉 기체를 운용하고 있는 탓에 이번 장비, 부품 구매 중단 명령으로 유지보수 및 부품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 같은 보도에 15일 뉴욕 증시 개장 전 시간 외 거래에서 보잉(종목명:BA)의 주가는 3% 넘게 하락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