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상호관세 제외로 한숨 돌렸지만...아이폰17 어쩌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제외하면서 애플은 한숨 돌렸지만 당장 올해 가을 출시를 앞둔 '아이폰 17' 생산이 여전히 문제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 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 등 전자제품 품목을 명시했고,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했다.
전자제품은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 관세, 그리고 한국 등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 관세(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를 내지 않아도 된다.
다만 미국이 펜타닐 등 마약 미국 유입 차단에 비협조적이라며 중국에 부과한 20% 관세는 계속 적용된다.
![]() |
애플의 아이폰 16 시리즈 [사진=로이터 뉴스핌] |
아밋 다리야나니 에버코어 ISI 애널리스트는 "(일시적이라 해도) 일단 상호관세에서 제외된 것은 애플에 큰 안도가 됐다"라며 "중국에 대한 관세(125% 상호관세 + 20% 관세)가 그대로 적용됐더라면 제품 원가가 크게 상승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애플의 최대 수익원인 아이폰 생산 문제가 여전한 걸림돌이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애플은 전체 아이폰 생산량의 약 87%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아이패드도 약 80%, 맥북은 60% 이상이 중국산이다. 이들 제품군은 애플 연간 매출의 약 75%를 차지한다.
애플은 이번 관세 위기에 대응해, 미국 수출용 아이폰을 인도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준비해 왔다. 현재 인도 공장은 연간 3000만 대 이상의 아이폰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이는 전체 연간 아이폰 판매량(약 2억 2000만~2억 3000만 대)의 일부에 불과하다.
특히 아이폰 17은 대부분 중국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인데, 단 수개월 안에 생산 거점을 인도 등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일은 어렵다. 만약 생산 이전을 무리하게 추진한다면 공급망 혼란과 가격 인상을 초래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애플이 갑작스레 생산 거점을 이전할 경우 중국 정부의 보복 가능성도 있다. 애플은 전체 매출의 약 17%를 중국 시장에서 올리고 있으며, 중국 전역에 수십 개의 애플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일부 미국 기업에 대한 규제 조치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애플도 잠재적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더구나 해외에서 생산되는 전자제품의 경우 영구 면세 대상이 아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 반도체 품목 관세를 발표할 때 여기에 전자제품도 포함할 예정이다. 펜타닐을 이유로 부과했던 20% 관세에 해당 품목 관세가 더해질 경우 중국에서 제조되는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의 주요 전자제품에는 여전히 상당한 관세가 붙게 된다.
관세율이 어떻게 책정될지, 반도체를 핵심 부품으로 하는 애플의 전자제품에 생산지별로 관세율을 차등화할지, 중국산의 경우 20% 기존 관세율에 합산해서 계산할지, 많은 게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