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② GPC 52주 최저가...관세 위기 속 배당왕 담을 기회

코투선 0 16

이 기사는 4월 10일 오후 4시5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① GPC 52주 최저가...관세 위기 속 배당왕 담을 기회>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제뉴인 파츠(종목코드: GPC)의 글로벌 입지는 새로운 관세 체제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는 평가가 있다. 다양한 공급, 제조, 유통 라인을 갖춘 제뉴인 파츠는 여러 시장에서 현지 생산 부품을 제공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환경에서 유지보수 및 DIY 분야에서 오히려 수혜를 볼 가능성도 있다.

17443893604014.jpg
제뉴인 파츠의 2024년 지역별 매출 비중 [자료=업체 제공]

◆ 관세 위기 속 경쟁력 평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26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이후, 수입 관세가 자동차 가격을 상승시켜 운전자들이 기존 자동차를 더 오래 보유하도록 유도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및 수리 수요가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비슷한 역학 관계로 제뉴인 파츠의 주가를 지지했던 경험이 있다.

에버코어 ISI의 그렉 멜리치 애널리스트는 최근 제뉴인 파츠의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부합'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28달러에서 135달러로 올려 잡았다. 멜리치는 제뉴인 파츠가 글로벌 비즈니스이지만 필요한 부품의 유통이 현지에서 이루어지며, 핵심 시장에서 상당한 규모와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제뉴인 파츠가 관세 측면에서 우리가 다루는 기업 중 더 잘 보호받은 회사 중 하나이며, 자동차 및 산업 부문 모두에서 가격 상승을 견뎌낼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신차와 중고차 가격이 5~15%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기존 차량을 수리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17443893607778.jpg
제뉴인 파츠의 자동차 부품 [사진=업체 홈페이지]

◆ 골드만삭스의 우려 요인

반면 골드만삭스는 최근 제뉴인 파츠의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114달러로 낮췄다. 골드만삭스는 제뉴인 파츠의 NAPA 자동차 부품 사업 실적 약화, 유럽 자동차 부문의 둔화 추세,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에 대한 산업 부문의 노출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제뉴인 파츠의 2025년 전망이 최종시장 수요의 꾸준한 개선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는 불확실한 시나리오라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 자동차 부문이 전체 매장의 약 65%를 차지하는 독립 운영 매장에 크게 의존하는 점도 위험 요소로 지적했다. 현지 시장 전문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독립 매장 사업자의 수요 변동과 재고 감소는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제뉴인 파츠가 500개 이상의 독립 매장을 인수했지만, 대형 독립 사업자의 수가 줄어들면서 앞으로는 인수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골드만삭스는 분석했다. 동일 매장 매출이 경영진의 기대를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 거시 경제적 압력이 지속될 경우 추가적인 하방 위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17443893611925.jpg
제뉴인 파츠의 2024년 연간 실적 [자료=업체 제공]

◆ 월가 투자 의견 및 주가 전망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보유'가 우세하다. CNBC 집계에 따르면, 14개 투자은행(IB) 중 8곳이 '보유', 1곳이 '강력 매수', 4곳이 '매수', 1곳이 '시장수익률 하회' 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 평균은 129.94달러로, 현재 주가에서 약 14%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월가 최고 목표주가는 155달러, 최저 목표주가는 114달러다.

제뉴인 파츠의 주가는 1년 전과 비교하면 미국 산업 생산 둔화로 인해 23.13% 하락했으나, 2025년 들어서는 2.38% 하락에 그쳐 S&P500지수의 7.22% 하락보다는 낙폭이 완만한 편이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69년 연속 배당 증가 기록과 탄탄한 재무구조, 안정적인 현금 창출력을 갖춘 제뉴인 파츠는 현재의 저점이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관세로 인한 신차 가격 상승 시 자동차 수리 및 부품 교체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관세 체제에서 오히려 수혜를 볼 수 있는 '배당왕'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