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란과 핵프로그램 대화 중...12일 중요한 회담"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미국과 이란이 이란 핵 프로그램을 둘러싸고 직접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는 자리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 이란과 직접 대화를 하고 있으며, 이미 시작됐다"라며 "토요일(12일)에 협상이 이어질 예정이고, 대단히 중요한 회의를 앞두고 있다. 어떤 결과가 나올지 지켜보자"라고 알렸다.
![]() |
7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취재진에게 발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어 그는 오는 12일 미국과 이란 간 회담이 "매우 고위급"이 될 것이라며, "모두가 합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구체적인 회담 장소나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가 실패한다면 미국이 이란에 군사행동을 할 준비가 되어 있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란은 큰 위험(great danger)에 처할 것으로 나는 생각한다"라며 "이란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후 압바스 아라치 이란 외교부 장관은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오는 12일 고위급 회담은 간접적이며, 오만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협상은 기회이자 시험대이며, 공은 미국에 넘어가 있다"라고 썼다.
양측이 같은 장소에서 대좌하는 직접 회담과 달리 간접 회담은 직접 얼굴을 맞대고 협상하지 않고, 중재국이 오가면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 이란 정부 관리도 로이터에 "회담은 직접적이지 않을 것이다. 오만의 중재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회담의 성격이 직접적인지 간접적인지는 현재로선 불분명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7일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이란 최고지도자에게 서신을 보내 핵 협상 테이블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고 알렸다. 당시 그는 이란에 두 가지 옵션이 있다며 "군사적인 것과,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라고 해 이란이 미국과 핵 협상에 임하지 않을 경우 미국이 군사적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엄포를 놨다.
또 다른 이란 정부 당국자는 로이터에 협상 타결을 위한 시간은 길어야 2개월이라며, 협상이 그 이상 지연되면 이스라엘이 독자적으로 군사적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