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철강 덤핑 우려 속 印 "정부 사업에 자국산 철강 우선 사용해야"

코투선 0 13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세계 2위 철강 생산대국인 인도가 정부 사업에 자국산 철강을 우선 사용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4일(현지시간) 이코노믹 타임스(ET) 등에 따르면, 인도 철강부는 '2025 국산 철강 제품 정책'을 발표했다. 인도 정부 산하 모든 부처와 기관·공공사업에서 50만 루피(약 844만원)를 초과하는 철강을 조달할 때 반드시 인도산 철강 제품을 우선 사용하고, 20억 루피 상당 이하의 철강 제품 조달에서는 해외 기업의 입찰을 금지한다는 게 정책의 골자다.

인도 당국은 철강 조달 때 외국 인증 및 불합리한 기술 사양을 요구하는 것을 국내 공급업체에 대한 차별적 조치로 간주하기로 했으며, 또한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인도 기업이 참여할 수 없도록 한 외국 정부나 기관은 인도 정부 조달 입찰에 참여할 수 없도록 했다.

다만 인도에서 생산되지 않는 특정 철강 제품이나 국내 업체가 필요한 물량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는 예외다.

해당 정책은 향후 5년 간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인도 정부의 이번 조치는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철강은 인도의 중요 산업 중 하나로, 경제 발전에 힘입어 수요가 큰 상황이지만 수입 역시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저가의 중국 및 베트남산을 비롯해 수입산 철강이 인도 시장에 쏟아지며 가격 하락을 촉발하자 인도 업계의 어려움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하기로 하자 위기감이 더욱 고조됐다. 미국의 관세로 판로를 찾지 못한 외국산 철강 제품이 인도로 대거 유입될 수 있고 덤핑 압력 또한 커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면서다.

인도 정부는 현재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 상공부가 대부분의 수입 철강 제품에 200일 동안 12%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산하 무역구제국(DGTR)에 권고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17437476556818.jpg
인도 뭄바이의 한 노동자가 철강관을 쌓고 있다. 2010.02.10 [사진=로이터 뉴스핌]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