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켓 리포트 4월 4일]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5년여 만에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현지시간 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내린 4만545.93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4.45포인트(4.84%) 밀린 5396.52에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만6550.61을 가리켰다.
이날 나스닥 지수의 낙폭은 지난 2020년 3월 이후 최대였으며 S&P500지수는 같은 해 6월 이후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 관세가 전 세계 경제 활동 둔화 우려를 낳았고, 인플레이션 속에 경기 후퇴가 겹치는 스태그플레이션 전망이 잇따르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10%를 기본으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한국에는 25%, 중국과 유럽연합(EU)에는 각각 34%, 20%의 관세를 적용한다.
애플 주가는 9.25% 급락, 5년래 최대 낙폭을 보였다.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은행주도 급락, 시티그룹과 JP모간체이스가 각각 12.14%, 6.97% 내렸다.
자동차 관련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4.34% 내렸고 포드차와 테슬라도 6.01%, 5.47% 급락했다.
인공지능(AI) 테마주도 맥을 못 췄다. 엔비디아는 7.81% 밀렸으며 브로드컴도 10.51%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크게 하락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14.33포인트(2.67%) 떨어진 522.59로 장을 마쳤다. 독일 DAX 지수는 690.48포인트(3.08%) 내린 2만1700.36에, 영국 FTSE 100 지수는 133.74포인트(1.55%) 하락한 8474.74로 마감했다.
프랑스 CAC 40 지수는 259.85포인트(3.31%) 후퇴한 7598.98에, 이탈리아 FTSE-MIB 지수는 1383.37포인트(3.60%) 물러선 3만7070.83로 장을 마쳤다. 스페인 IBEX 35 지수는 159.00포인트(1.19%) 내린 1만3191.20에 마감했다.
이날 유럽 시장은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는 듯 '트럼프 관세'에 큰 충격을 받는 모습이었다. 주요 섹터 중에서는 경기에 민감한 은행(-4.94%)과 기초자원(-4.67%), 에너지(-4.90%)가 모두 급락했다.
유럽의 공포지수인 유로스톡스 변동성지수는 25.54를 기록하며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인도증시도 하락 마감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42% 내린 7만 6295.36포인트, 니프티50 지수는 0.35% 하락한 2만 3250.1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양대 벤치마크 지수 모두 하락했지만 아시아 다른 증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인도가 베트남(46%)이나 인도네시아(32%) 등 주요 경쟁국 대비 낮은 관세율(26%)을 부과받은 것이 시장 충격을 완화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에 IT섹터가 약세를 보였다. 인도 IT기업들은 미국에서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니프티 IT 지수는 이날 4.2% 이상 급락하면서 2년 만에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
반면 제약 섹터는 강세를 보였다. 미국이 상호 관세 부과 범위에서 의약품을 제외한 영향이다. 썬파마와 시플라가 모두 약 3.4% 오르면서 니프티 제약 지수도 2.25% 상승했다.
미 국채 수익률(금리)은 일제히 급락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투자자들은 안전 자산인 채권으로 눈을 돌렸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오후 거래에서 기준 금리가 되는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장보다14.6bp(1bp=0.01%포인트) 하락한 4.049%를 기록했다. 장중에는 4.004%로 지난해 11월 25일 이후 최저로 밀렸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 수익률도 장중 3.69%로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를 보인 반면, 안전 자산인 일본 엔과 스위스프랑은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뉴욕 시장 오후 거래에서 전장보다 1.79% 내린 101.94를 기록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충격과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증산 예정 소식에 국제 유가는 6%나 넘게 빠졌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물은 전장보다 배럴당 4.76달러(6.64%) 급락한 66.95달러에 마감됐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6월물은 전장보다 배럴당 4.81달러(6.42%) 빠진 70.14달러에 마감했다.
브렌트유는 2022년 8월1일 이후, WTI는 2022년 7월 11일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
OPEC+ 회원국은 이날 회의를 열고 5월부터 하루 41만 1000배럴을 증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시장이 예상했던 일일 14만 배럴 증산을 훨씬 웃도는 규모다.
금 가격은 광범위한 자산시장 매도세 여파에 동반 하락했다. 다만 안전자산 인기에 따른 낙관론은 유효한 모습이다.
뉴욕 상품 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6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1.4% 내린 3121.7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장 초반 3167.57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장 후반 0.85% 하락한 3106.99달러를 가리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