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강진' 미얀마에 최고 등급 비상사태 선포...中·러·印 등 지원 도착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규모 7.7의 강진이 강타한 미얀마에 최고 등급의 비상사태가 내려졌다. 사상자 수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사회도 지원 속도를 높이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유엔(UN) 세계보건기구(WHO)는 30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우리는 이번 사태를 긴급 대응 체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3급 비상사태'로 분류했다"며 "미얀마 내 부상자와 외상 환자가 많고 의료 환경이 열악해 질병 확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WHO는 "향후 30일 간의 긴급 의료 지원을 위해 800만 달러(약 118억원)가 필요하다"며 "생명을 구하고 질병 확산을 방지하며 필수 의료 서비스를 안정화하고 회복하기 위한 자금이 즉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제적십자연맹(IFRC)도 이날 성명을 내고 미얀마 강진 피해를 돕기 위해 1억 스위스프랑(약 1억 1374만 달러, 약 1673억원) 규모의 긴급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며 "향후 24개월 동안 10만 명(2만 가구)에 생명 구호와 초기 복구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HO와 IFRC 모두 시간이 지체될수록 피해 상황이 더욱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WHO는 "즉각적인 자금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더 많은 생명이 희생되고, 이미 취약한 보건 시스템이 붕괴할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고, IFRC는 "기온이 오르고 있는 데 더해 몬순(우기) 시즌이 몇 주 안으로 시작돼 2차 위기가 발생하기 전에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은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최소 2028명, 부상자는 3408명으로 늘었다고 이날 발표했다.
다만 실제 피해가 이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2021년 쿠데타 이후 군부 통치와 내전이 이어지고 있던 가운데 강진까지 겹치며 도로와 통신망이 파손된 지역이 많아 구호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제대로 된 피해 집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72시간으로 여겨지는 인명 구조의 골든타임이 거의 끝나가고 있어 사망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이 넘을 가능성을 71%로 추산했다. 10만 명 이상일 확률이 36%, 1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일 확률도 35%에 달한다.
![]() |
[만달레이 로이터=뉴스핌 특약] 30일(현지시간) 구조대원들이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인해 붕괴한 건물 현장에서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5.03.31 [email protected] |
한편 미얀마를 향한 국제 사회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과 러시아·인도·태국·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이 구호 물자와 인력을 파견했고, 이번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태국도 구호 물자를 보내기로 약속했다고 알자지라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지진 피해자 구조 및 구호 활동을 위해 1억 위안(약 202억 6400만원) 규모의 긴급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미얀마 정부의 요청에 따라 두 개 구조팀을 파견하고 피해 지역에 텐트·담요·응급치료 키트·식량·식수 등을 공급할 계획으로, 윈난성 출신 인력 37명으로 구성된 구조팀이 29일 이른 아침 지진 감지기와 무인기 등을 갖고 양곤에 도착했다.
30일에는 구호 물자와 의료품을 실은 중국 화물트럭 17대가 양곤에서 만달레이로 출발했다고 알자지라가 전했다.
인도 외무부에 따르면, 야전병원과 약 120명의 인력을 태운 군용 헬기 2대가 29일 밤께 미얀마 수도 네피도 공항에 착륙했다. 이들은 진앙에서 가까워 심각한 피해를 입은 북쪽 만달레이로 이동해 60개 병상을 갖춘 야전을 구축한다.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120명의 구조 인력과 구호 물자를 양곤으로 급파했고, 모스크바에서도 의료팀을 파견했다고 밝혔다.
한국 외교부는 미얀마에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