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뉴욕 주간 프리뷰] ②'경기 균열' 내러티브 고조, 방어주로 피신

코투선 0 47

이 기사는 2월 24일 오후 2시0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 주간 프리뷰] '경기 균열' 내러티브 고조, 방어주로 피신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LSGE리퍼에 따르면 지난 19일까지 채권펀드에는 주간으로 86억2000만달러가 순수하게 들어와 7주 연속 투자금 순유입을 기록했다. 아울러 미국 하이일드 채권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플러스권을 기록 중이다. 관련 지수의 올해 수익률은 1.7%로 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기 시작한 지난달 중순부터 플러스로 전환했다.

17403744593446.jpg

경제지표 실망감은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을 되레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시차를 두고 주식시장의 시세 방어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현재 금리스왑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올해 첫 정책금리 인하 시기는 9월에서 7월로 앞당겨진 상태다. 앞서 모간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전략가는 10년물 국채 금리에 대해 "4~4.5% 범위가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에 적정한 수준"이라고 했다.

일부 전문가는 S&P500의 6100선 탈환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S&P500은 1월에 6118.71에서 고점을 경신하고 6100을 상한으로 하는 횡보세를 연출했다. 지난 13일 6100선을 회복하고 지난주에는 나아가 사상 최고치까지 경신했지만 다시 6100선을 내준 상태다. 6100선에 대해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이 팽팽하게 맞서는 지점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BTIG의 조나단 크린스키 테크니컬 분석가는 6100선을 탈환해도 '거짓 돌파'일 가능성이 크다며 견고한 상승세가 아닐 수 있다고 봤다. 기술주 강세가 부재한 상황에서는 다른 섹터들의 상승만으로 주가 상승이 지속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코베이시레터의 애덤 코베이시 창립자도 "현시점에서 기술주 강세 없이는 어떤 지수도 큰 상승세를 보이기 어렵다"고 헀다.

5. 엔비디아와 PCE

이같은 관점에서 이번 주 26일 정규장 마감 후 공개되는 엔비디아(종목코드: NVDA)의 결산은 주식시장의 큰 관심사다. 관련 결과가 위축된 기술주 위험선호 심리를 되살릴지 주목된다. 최근 중국 저비용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의 등장을 계기로 고비용을 당연하게 여겨왔던 AI 설비투자가 보수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AI 투자의 지속가능성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6일 공개되는 것은 결산은 2025회계연도 4분기분으로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실적에 해당된다. 코이핀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평균적으로 4분기 매출액을 전년동기 대비 73% 증가한 381억4500만달러로 예상 중이다. 전망치 최고값 421억46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91% 증가를 상정한다.

17403744597058.jpg

ORATS에 따르면 옵션시장에 상정된 실적 발표 다음 날 엔비디아의 주가 변동폭은 ±7.7%로 집계됐다. 지난 12개 분기의 평균 변동폭 ±7.6%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3조4000억달러 수준인 점을 고려할 떄 7.7%의 변동폭은 약 26000억달러의 시총 변동을 의미한다. 웰스파고의 시총과 맞먹는 규모다.

앞서 엔비디아는 딥시크의 등장은 자사의 AI 연산용 칩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올스프링의 마이크 스미스 성장주 팀장은 "결산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엔비디아 실적에서 '정점'을 찾으려 하고 있다"며 "의료와 소프트웨어, 금융 등 다른 섹터로의 자금 이동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찰스슈왑의 조 마졸라 트레이딩·파생상품 전략 책임자에 따르면 엔비디아 시세와 S&P500의 상관계수는 현재 30%로, 작년의 71%에서 크게 하락한 상태다. 엔비디아 주가 움직임이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종전보다 줄었다는 설명이 나온다. 그는 다만 엔비디아가 여전히 AI 시장의 선도기업인 만큼 투자심리나 시장 전반의 투자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강력하다고 했다.

주목되는 또 다른 일정으로는 28일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1월분이다. 팩트셋이 집계한 이노코미스트 컨센서스에 따르면 1월 종합 상승률(전년 동월비)은 12월 2.6%에서 2.5%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와한 근원 상승률은 2.8%에서 2.6%로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모간스탠리의 마이글 게이펜 이코노미스트는 "근원 상승률 2.6% 실현은 인플레이션의 의미있는 둔화를 뜻한다"며 6월 정책금리 인하가 있을 것이라는 당사 전망에 부합하게 된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