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트럼프 "관세 소득 늘면 美 국민 소득세 폐지도 가능"

코투선 0 99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부과할 신규 관세로 세수가 늘면 미국의 소득세를 폐지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고율의 관세가 무역 상대국을 압박해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일종의 외교 전략을 넘어선 미국 내 감세 수단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트럼프는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공화당 주지사 협회 만찬 행사에서 "막대한 돈이 관세로 흘러 들어올 것"이라면서 "이것이 효과를 거두면 소득세 시스템을 보유할 필요가 없게 될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또한 어떤 국가인지는 특정하지 않았으나 연간 한 국가의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만으로 최소 600억 달러(약 86조 원)를 거둘 수 있다고도 했다. 막대한 관세로 국가 재정이 두둑해지는 만큼 미국인들에게는 소득세를 거둘 필요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17401422587111.jpg
지난 10일(현지시간) 철강 알루미늄 수입 관세 부과 포고문에 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멕시코 내 생산기지를 통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 온 제3국 기업들에게도 경고의 메시지를 날렸다.

그는 "그들이 디트로이트(미국의 자동차 생산 중심지)를 죽이고 있었는데, 이제는 완전히 반대 상황이 됐다"며 우회 수출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비쳤다. 이 같은 발언은 멕시코 내 생산기지를 통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을 하고 있는 한국, 일본 기업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캐나다를 향해서는 "그들이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목재, 석유, 가스 등에 대해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며 "그들은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또한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들도 언급하며 "어느 BRICS 국가든 간에 '달러 파괴'를 거론하면 150%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우리는 그린란드를 지켜보고 있으며, 파나마 운하를 반환받아야 한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18일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오는 4월 2일경 밝힐 것이라고 했으나 하루 뒤인 19일 말을 바꿔 향후 한 달 내에 해당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율에 대해서는 25%에 근접할 것이라고 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