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트럼프도 가세한 '종이 빨대' 논쟁…전문가 "일회용 빨대 감축 집중"

코투선 0 113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종이 빨대의 '환경성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종이 빨대가 친환경이 아니라는 점을 주장한다. 종이 빨대를 만드는 과정에서 화학물질이 발생하고, 사용 이후에는 다른 쓰레기들과 같이 폐기물로 구분돼 버려진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전문가들은 정부가 진정한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빨대 소재보다 일회용 빨대 감축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빨대가 꼭 필요한 경우, 다회용 빨대를 여러 번 사용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라고 조언한다. 

◆ 종이 빨대 사용 논란…트럼프 발언에 다시 '도마 위'

21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는 일회용 빨대의 환경성에 대해 국회, 관련 학계·업계에서 다양한 이견이 제기됨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환경성 검토를 추진해 왔다. 환경성 검토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평가하는 제도다. 

일회용 빨대 사용 논란은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거세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플라스틱 빨대 구매를 장려하고 나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플라스틱 빨대 구매를 장려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전임 바이든 정부의 종이 빨대 권장 정책이 불과 몇 개월만에 뒤집혔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종이 빨대는 잘 부러지고 터지며, 뜨거운 음료에는 오래 견디지 못한다"며 "상어는 바다를 헤엄치며 음식을 먹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상어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7401089585547.jpg
아이티 카프아이시앵(Cap Haitian) 해변에 널려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종이 빨대 논쟁은 국내 정치권에서도 불거졌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4일 소셜미디어(SNS)에 종이 빨대 금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종이 빨대도 결국 일회용이라 친환경적이지 않다고 본 것이다. 김 의원은 자신의 SNS에 "종이빨대는 원칙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한데 환경부가 재활용 체계 구축은 외면했다"며 "결국 종이빨대도 플라스틱 빨대처럼 일반 쓰레기로 소각처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의원은 "지난해 10월 1회용품 무상제공을 금지해 실질적으로 일회용품 사용 감량을 유도하는 '자원활용법' 개정안을 발의했다며, 종이빨대를 포함해 어떤 재질의 일회용 빨대든 모두 규제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전문가들 "소재 논쟁에서 벗어나 일회용품 사용 줄여야"

전문가들은 빨대 소재 논쟁에서 벗어나 일회용 빨대 남용을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어린이나 노약자같이 불가피하게 빨대가 필요한 경우에는 다회용 빨대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종이든 플라스틱이든 일회용 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정 교수는 "종이 빨대도 만드는 과정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버리면 폐기물이 된다"며 "종이 빨대를 친환경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어린이나 환자같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빨대를 쓰지 않아도 불편하지 않다"며 "종이 빨대와 플라스틱 빨대 둘 중에 뭐가 나은지의 접근보다 더 이상 일회용 빨대를 쓰지 않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17401089589165.jpg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2024 지구의 날 기념행사에서 시민들이 다회용 컵을 지참해 무료로 음료를 받고 있다. 2024.04.13 [email protected]

홍수열 자원순환경제연구소 소장은 종이 빨대 논쟁으로 플라스틱 감량 정책이 흔들리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 소장은 "석유로 만든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유엔 플라스틱 국제협약에서 합의된 목표"라며 "이미 목표가 만들어진 시점에서 다시 플라스틱과 종이 중 무엇이 좋은지 따지는 것은 소모적"이라고 지적했다.

또 홍 소장은 "순환림 목재 원료로 종이 빨대를 만든다면, 썩지 않는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가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며 "대만 환경부 장관은 얼마 전 빨대 논쟁과 관련해 대만 플라스틱 감량 정책은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했는데, 우리에게도 이런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린이나 장애인의 경우 꼭 빨대가 필요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빨대를 쓰지 않더라도 음료를 마시는 데 지장이 없다"며 "불가피하게 빨대를 써야 한다면 다회용 빨대를 쓰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소라 환경연구원 연구위원은 다회용 빨대를 충분히 사용하는 방안을 권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다회용 빨대를 쓰는 게 가장 좋지만, 다회용 빨대도 버려지면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하거나 소각된다"며 "다회용 빨대를 수명이 다할 때까지 충분한 횟수를 썼을 때 환경 효율이 가장 높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종이 빨대는 바이오 기반으로 만들어져 소각 과정에서 글로벌 워밍 포텐셜(GWP) 가스가 나오지 않는다"며 "플라스틱 빨대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종이 빨대보다 높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에 환경부 관계자는 "종이 빨대에 대한 환경성 검토를 계획 중"이라며 "플라스틱 빨대에 대한 규제를 했는데 소비자 수용성 문제, 대체품 품질 불만 등으로 계도기간을 연장했다"고 답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