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딥시크 파워' 산업∙주식시장 재편, 투자기회도 커진다

코투선 0 112

이 기사는 2월 20일 오후 4시0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각 업계에서 딥시크(DeepSeek∙深度求索∙선두추숴) 인공지능(AI) 모델 도입 움직임이 확대, 딥시크 영향력이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부 기관을 비롯해 다수의 빅테크(대형 IT기업), 각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딥시크 모델을 적극 도입하면서, AI 응용 침투율 제고와 상업화를 앞당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딥시크의 파워는 산업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다. 지난달 중국 주식시장으로 작년 9월 불마켓 당시 이후 최고액인 3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순유입됐는데,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딥시크로 대표되는 중국의 AI 기술력이 핵심 촉매제로 작용하며 해외 투자자들의 중국 자산에 재평가가 이뤄진 것이 이 같은 결과로 이어졌다고 판단했다.

이처럼 딥시크가 산업과 주가 등 여러 측면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불러오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특히 성장여력을 빠르게 확대할 섹터와 종목들을 탐색하며 투자기회 포착에 집중하고 있다.

17400954556223.jpg

◆ 중국자산 재평가 "딥시크가 촉매제"

국제금융협회(IIF)가 2월 19일 발표한 최신 '국제자본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1월 해외 투자자들이 중국 자산에 적극적인 포지션을 취했으며, 중국 주식과 채권으로 순유입된 해외자금 총액은 1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외자가 중국 주식과 채권을 동시에 늘린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신흥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자금 유출세가 나타났고, 1월 한달 간 115억 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반면, 중국 주식으로는 나홀로 순유입세가 연출됐다. 1월 중국 본토 A주로 20억 달러(약 2조88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는데, 이는 작년 9월 연출된 A주 불마켓 장세 이후 최대 규모다.

춘절(중국의 음력 설) 이후 골드만삭스, UBS,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다수의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중국 자산에 대한 낙관적 평가를 내놨다. 중국 주식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낙관적 평가는 매우 보기 드문 경우로, 중국 주식에 대한 해외시장의 신뢰도 회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수많은 호재 요인 중에서도 딥시크로 대변되는 중국 AI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이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해외시장의 재평가 계기를 마련한 핵심 촉매제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수의 해외 기관들은 딥시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도 글로벌 선도적 수준의 기술력에 맞먹는 수준의 고성능 제품을 개발해낸 것이 중국 AI 기술의 혁신적 성과를 부각시켰다고 평했다.

대표적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투자에 대한 논거가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시장 성과, 딥시크의 AI 기술적 돌파, 그리고 기대보다 양호한 미중 관계 등 다수의 호재 요인들이 작용하며 중국 시장이 '거래 가능'에서 '투자 가능'으로 전환됐다고 진단했다. 또한, A주 시장의 적극적인 배당의지 확대, 보험회사의 투자 장려 등 장기적 개혁이 시장의 상승세를 지탱하는 배경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중국 시장이 작년에 우수한 성과를 보였지만, 여전히 글로벌 장기 투자금은 중국주식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중국 자산에 대한 기본적인 투자 논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HSBC 글로벌 프라이빗 뱅킹 앤 웰스 매니지먼트는 중국 주식 등급을 '중립'에서 '다소 높음'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번 등급 조정은 중국 AI 분야의 자주적 혁신 돌파구와 그 상업화 잠재력을 고려해 도출된 결과다. 

HSBC 글로벌 프라이빗 뱅킹 앤 웰스 매니지먼트의 쾅정(匡正) 중국 수석투자책임자는 이번 조정이 중국 AI 기술의 자주적 혁신과 상업화가 불러올 성장의 기회를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딥시크 이슈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전환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투자방향에 있어 해외 기관들은 모두 중국 AI 관련 산업체인을 중점 핵심 투자방향으로 주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딥시크 파워'②③ 산업∙주식시장 재편, 투자기회도 커진다>로 이어짐.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