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트럼프 관세조치에 민간 싱크탱크와 대응책 논의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트럼프 미국 신정부가 관세조치를 개시하자 정부가 민간 연구기관장들과 머리를 맞대고 대응책을 모색하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삼성·현대·LG·포스코 등 9개 민간 연구기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미(對美) 통상대응 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관세 등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이 잇달아 발표됨에 따라 우리의 영향 및 대응전략을 본격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가 진행 중인 대미 통상대응 동향을 공유하고, 주요 민간 싱크탱크의 제언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트럼프 행정부 2기를 맞아 민간 싱크탱크들은 업계를 대변해 미국 통상조치 대응전략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싱크탱크간 실시간 정보공유 체계를 강화해 민관이 한 목소리로 대미 통상대응 활동을 긴밀히 이행할 방침이다.
![]() |
[서울=뉴스핌]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미국 신정부 철강 알리미늄 관세 대응 업계 간담회에서 미국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2025.02.11 [email protected] |
정인교 통상본부장은 "미국의 통상조치 현실화에 대응해 정부는 대미 채널을 본격 가동해 업계가 직면한 불확실성 극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간 싱크탱크와 협업을 강화해 대응전략을 지속적으로 정교히 다듬어 나가겠다"면서 의지를 밝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연구기관 수장들도 기관별 대비 통상 중점 연구분야 및 계획을 공유하고,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우리의 대미 대응 논리, 메시지, 아웃리치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민간 싱크탱크와 긴밀히 협업해 업계와 적극 소통하고, 고위급 방미 등을 통해 미국 통상조치에 대해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