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달아오른 美 CPI에 뉴욕증시는 당분간 '살얼음판'

코투선 0 47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불안불안하던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재가열 양상을 보이면서 뉴욕증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가 후퇴하면서 미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 조짐을 보이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충격도 무시할 수 없어서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당분간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달보다 0.5% 올랐다. 지난 2023년 3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3.0% 상승해, 2.9%를 유지했을 것이라는 월가의 예상도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3.3% 상승해, 역시 12월(0.2%, 3.2%)에서 가속 흐름을 보였다. 이 또한 월가 예상치(0.3%, 3.1%)를 넘어선 수준이었다. 

우려했던 물가 들썩임이 수치로 확인되자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올해 단 한 차례에 그칠 가능성을 가장 유력하게 봤고, 인하 예상 시점도 종전 6월 무렵에서 9월 이후로 늦춰 잡았다.

17394159566093.jpg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가 얼굴을 감싸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마켓워치는 이번 CPI 지표 하나로 단정 지을 순 없지만 연준이 금리를 아예 내리지 못할 가능성도 있고, 금리 인상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논의도 등장했다고 전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CPI 발표 직후 장 초반에 크게 하락하다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는 낙폭을 다소 축소했다.

1월 하순 이후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발 충격과 트럼프발 관세 악재를 딛고 일어선 뉴욕증시는 이번 CPI 재료도 일단 일정선에서 소화해 내긴 했지만, 맷집이 얼마나 지속될지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작년 11월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 이후 좋은 것만 앞서 반영했던 뉴욕증시는 트럼프 취임 이후 대체로 횡보하는 양상이다. 잇따른 관세 발표에도 '아직 우려했던 만큼의 파괴력은 아니다, 선반영한 재료다'라는 논리 등이 시장을 받치고 있다. 

다만 연초 불안감을 자아냈던 시장 금리가 인플레이션 때문에 다시 뜀박질을 시작하면 증시 환경은 재차 불안해지기 쉽다.

연초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자산시장의 '발작' 트리거로 여겨졌던 5% 선을 향해 꾸역꾸역 고도를 높이다가 12월치 CPI 둔화세가 확인되면서 방향을 바꿨고, 최근까지 무난한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1월치 CPI가 다시 예상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오자 간밤(현지시간 2월12일) 장중 10년물 금리는 한때 4.66%까지 뛰었다. 이는 3주 만에 가장 높은 금리 레벨이다. 단기물인 2년물 수익률의 경우 장 초반 4.389%까지 올라 1월 중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설상가상 계절적으로도 증시에 불리한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통상 2월 하순에는 증시 흐름이 별로다. 대선을 치른 다음 해 첫 분기 동안에도 뉴욕 증시 성적표는 좋지 않다. 이러한 과거 경험들은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우기 좋다.

이와 관련해 카슨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라이언 데트릭은 1950년부터 2024년까지 주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월에는 대개 중순 이후부터 주가가 아래를 향하는 경우가 많으며, 4년의 대선 사이클을 기반한 분석도 대선 이듬해 1분기 S&P500 상승폭이 가장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스콧 헬프스타인 글로벌X 테마 솔루션 수석 부사장은 "백악관이 추가 관세 조치들을 검토하는 상황이라 물가 전망치는 더 오를 것"이라면서 "이번 CPI 수치로 경제나 주식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완전 사라진 것은 아니나 투자자들은 당분간 상황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