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트럼프에 꼬리 내렸나? "파나마, 美정부 소유 선박은 운하 통행료 공짜"

코투선 0 62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파나마 정부가 미국 정부 소유 선박에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물리지 않기로 했다고 미 국무부가 5일(현지 시각)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나마 운하 통제권 환수를 요구하며 군사력 사용도 가능하다고 압박하면서 파나마 정부가 한발짝 물러선 것으로 해석된다.

17388219568767.jpg
파나마 운하 [사진=로이터]

미 국무부는 이날 공식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파나마 정부가 더 이상 미국 정부 선박에 대해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라며 "미국 정부는 연 수백만 달러를 절감하게 됐다"는 글을 올렸다.

이 소식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이 지난 2일 파나마를 직접 방문한 지 사흘 만에 나왔다.

당시 루비오 장관은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과 통제가 위협이고, 이는 양국이 체결한 영구적 중립 조건의 조약을 위반한 것임을 강조했다.

루비오 장관은 운하 운영에 즉각적인 변화가 없을 시 미국은 필요한 조처를 하겠다고 경고했는데, 이에 파나마 정부가 미국 정부 선박에는 통행료를 면제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날 미 국방부는 배포자료를 통해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이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다면서, "두 사람은 파나마 운하의 방어를 포함한 안보상의 이익을 양국이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알렸다.

이어 미 국방부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운하를 공동 방어하고 양국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물리노 대통령은 헤그세스 장관의 파나마 방문을 청했다"고 덧붙였다.

1914년 개통된 세계 해상 무역의 주요 통로 파나마 운하는 미국이 파나마와 조약을 맺고 건설한 뒤 미국이 관리 및 통제하다가 1977년 양국은 파나마 정부가 운하의 영구적 중립성을 보증하는 조건으로 '파나마운하조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1999년 12월 31일 운하의 소유권과 관할권이 파나마에 완전히 이관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 항구 5개 중 2개의 운영권을 홍콩계 회사에 맡긴 것이 조약상 영구적 중립성 조건을 위반한 것으로 여긴다.

전날(4일)에는 파나마 정부가 홍콩계 회사와 항구 운영권 계약 해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도 나왔다.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 허치슨 포츠 PPC는 파나마 운하 양쪽 끝에 있는 발보아와 크리스토발 항구 두 곳을 운영하고 있는데, 지난 2021년 계약 연장으로 업체는 오는 2047년까지 운영권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