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그린란드 트레이드' 시동, 그뢴롼스방켄 ②빙하 속 잠재력
이 기사는 1월 15일 오전 11시1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린란드 트레이드' 시동, 그뢴롼스방켄 ①들썩이는 주가>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그린란드의 자원 매장량은 지구상 채굴가능한 자원의 20~25%로 추정된다. 특히 희토류 매장량은 4200만톤으로 중국의 4400만톤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다. EU가 지정한 34개 핵심광물 중 25개가 그린란드에서 발견됐다. 덴마크·그린란드지질조사소(GEUS)는 그린란드에는 티타늄과 바나듐 등 탈탄소 사회에 필요한 자원이 집중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서를 2023년에 내기도 했다. 이밖에 강철 합금 및 산업용 장비 제조에 쓰이는 몰리브덴이나, 아연과 납, 구리도 많다.
4. '빙하의 땅'에 온풍이II
하지만 풍부한 지하 자원에 비해 그린란드의 자원 개발 산업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현재 운영 중인 광산은 단 2곳뿐이고 이마저도 핵심광물을 채굴하지 않고 있다. 영하의 기온이 지속되는 기후, 도로 인프라의 부재, 5만5000명의 적은 인구에 따른 일손 부족 등으로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는 게 그 이유다. 미국의 대규모 직접투자는 그린란드 자원 개발의 채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대규모 자본 투입 통해 극지 기후에 대응 가능한 첨단 채굴시설과 운송 인프라 구축을 통해서다.
작년 한 해 그뢴롼스방켄의 실적은 우수했다. 그뢴롼스방켄 매출액의 100%는 은행(뱅킹) 업무에서 발생하는데 부동산 시장 활성화 기조와 이에 따른 대출 확대 등이 덴마크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2022년 7월~2023년 9월까지) 효과와 맞물려 수입 확대로 이어졌다. 그린란드 부동산 부문 대출잔액은 2019년부터 작년 중반까지 2배가 됐고 역내총생산 대비 신용 비율은 2019년 40%에서 2023년 60%로 상승한 것으로 보고됐다.
그뢴란스방켄의 올해 1~9월 세전이익은 1억9360만덴마크크로네로 전년동기 대비 13% 늘었다. 1~6월과 1~3월 증가폭은 17%와 25%로 더 컸다. 2023년 연간 세전이익은 2억4460만크로네로 전년 대비 124% 늘어나기도 했다. 금리 상승과 대출 확대, 그리고 결제 및 송금 건수 증가에 따른 순이자 및 수수료 수입이 확대된 덕분이다. 올해 세전이익 자체는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양호한 대출 연체율 등 견실한 재무상태와 안정적인 운영이 예상된다.
5. 현지 치중 투자 기반
그뢴롼스방켄의 주가는 차트에서도 짐작이 가능하듯이 종전까지 안정적인 주식으로 평가돼 왔다. '상승 추세는 없다(no upward trend)'지만 그래도 높은 배당수익률과 낮은 주가 변동성이 장점으로 언급돼 왔다. 예로 현재 그뢴롼스방켄의 배당수익률은 7.2%로 덴마크 은행 산업 평균 5.6%와 덴마크 시장 상위 25%의 평균 5.1%를 크게 상회한다. 특히 작년 연간 주당배당금은 55크로네(연간 1회 지급)로 전년비 175% 증가했다.
주식 투자자들은 대체로 현지에 치중돼 있고 투자 관심은 아직 저조한 상태다. 주주 구성을 보면 주요 기관투자자는 덴마크 단스케뱅크의 투자관리 부문(0.2%), 캐나다의 SEI인베스트먼츠캐나다(0.01%)로 비교적 소규모다. 36%가 개인투자자인데 그린란드나 덴마크의 개인으로 추정된다. 또 일반 기업으로 분류된 27%는 그린란드 역내 경제 활동과 관련이 있는 회사들로 추정된다.
국제적인 투자 관심이 비교적 저조하고 그 관심도도 현지에 집중된 것은 그린란드에 대한 인식, 즉 수산업과 관광업에 의존하는 단순한 산업 구조와 매장 자원 개발의 제약 등으로 관심을 끌기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린란드를 둘러싼 시각이 성장 잠재력으로 초점이 맞춰지면 그뢴롼스방켄 주식에 대한 보수적인 관점과 지역 중심의 제한적인 투자 기반도 바뀔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