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돈 나무 언니' 캐시우드 ETF의 부활...비트코인 00억원 간다고?

코투선 0 71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미국 기술주 투자 자산운용사인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는 한국에서도 유명하다. 지난 2020년에 연간 153%라는 폭발적인 수익률을 달성한 '아크 이노베이션(ARKK) ETF' 운용사기 때문이다. 2021년에는 한국 투자자들도 대거 ARKK ETF에 투자했었다.

아크 인베스트를 이끄는 '캐시 우드' CEO는 한국에서 '돈나무 언니'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 이름 '캐시 우드(Catherine Wood)'가 한국 발음상 '돈(cash)'과 나무(wood)'라고도 해석돼 지어진 별명이다. 하지만 캐시우드의 전설적인 명성은 오래가지 않았다.

◆ 급성장 아크 인베스트…수익률 부진으로 추락

2020년까지는 아크 인베스트의 액티브 ETF들이 큰 폭으로 오르며 순항했지만 2021년 1분기부터 수익률이 폭락했다. 이후 2022년 내내 고전하며 고점 대비 하락률이 무려 80%에 육박했다. 반대로 2022년에 아크 인베스트의 ARKK ETF 하락에 베팅한 인버스 'SARK ETF'는 80%가 넘는 고수익을 달성했다.

아크 인베스트는 현재 총 9개의 ETF를 운용 중이다. 2024년말 기준 총 자산규모(AUM)는 24조원(170억달러)이다. 자산규모 기준 미국 ETF 순위 28위를 기록 중이다. 2021년 2월 한 때 자산규모가 87조원(600억달러)을 돌파하며 10위 진입을 노리기도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수익률 부진과 자금이탈로 규모가 3분의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17358672557566.jpg

아크 인베스트의 간판인 '아크 이노베이션(ARKK) ETF'는 9조2000억원(64억달러)의 순자산으로 자산규모 1위를 기록했다. 혁신적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산업을 변화시키는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현재 주요 보유종목은 테슬라 16%, 로쿠 9%, 코인베이스 8%, 로블록스 6%, 팔란티어 6%, 로빈후드 5% 등이다.

하지만 ARKK ETF의 2024년 수익률은 고작 8%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가 23%, 나스닥 지수가 29%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형편없는 수익률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ARKK ETF는 인덱스 방식이 아니라 액티브 방식이라 부진한 수익률에도 수수료는 비싸다.

인덱스(패시브) ETF는 특정 시장 지수를 수동적으로 추종한다. 반면 액티브 ETF는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시장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 전략을 결정한다. 따라서 ARKK ETF(액티브)의 연 수수료는 0.75%로 상당히 높다.

반면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방식의 SPY ETF가 26%라는 높은 수익률에도 연 수수료는 0.009%에 불과하다.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방식의 QQQ ETF도 27%라는 높은 수익률에도 연 수수료는 0.2%로 저렴하다. ARKK ETF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더 커진 이유다.

◆ ARKW ETF는 테슬라, 비트코인 덕 수익률 점핑

전성기에 비해 자산규모가 확 쪼그라들었지만 'ARKK ETF'는 여전히 9조2000억원(64억달러)의 자산규모로 몸집이 무거운 편이다. 또 과거에 투자 비중이 높았던 '줌 커뮤니케이션스', '유아이패스', '텔라닥 헬스'가 코로나19 특수로 반짝 상승한 후 80% 이상 급락해 ETF 수익률 부진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반면 순자산 2위를 기록 중인 '아크 넥스트 제너레이션 인터넷(ARKW) ETF'의 순자산 규모는 2조6000억원(18억달러)이라 상대적으로 가볍다. 2024년 수익률은 42%로 상당히 우수하다. ARKW ETF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주요 분야로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있다.

17358672560979.jpg

ARKW ETF의 수익률이 뛰어난 비밀은 테슬라, 비트코인, 코인베이스에 있다. 지난 2024년 11월에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선거를 도왔던 머스크의 테슬라가 급등했다. 또 비트코인에 우호적인 트럼프 정책 기대감에 암호화폐 관련 종목들이 급등했다. 당연히 ARKW ETF도 큰 수혜를 봤다.

2024년말 기준 ARKW ETF의 보유비중 1위는 테슬라로 12%를 가지고 있다. 보유비중 2위인 'ARK Bitcoin ETF Holdco'는 현물 비트코인 형태다. 보유 비중 5위인 코인베이스, 6위인 로빈훗 마케츠, 8위인 블록도 다 암호화폐와 일정 부분 연관성이 있다.

아크 인베스트 순자산 3위를 기록한 '아크 핀테크 이노베이션(ARKF) ETF'의 순자산 규모는 1조6000억원(11억달러)이다. 주로 금융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핀테크 기업에 투자한다. 2024년 수익률은 34%로 양호하다. 역시 보유 보트폴리오 안에 코인베이스 9%, 블록 6%, 비트코인 현물 신탁 5.5%, 로빈훗 마케츠 5%, 테슬라 5%를 보유한 덕을 톡톡히 봤다.

◆ 캐시우드 '비트코인 현물 ETF'로 승부수?

현재 미국에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ETF는 총 12개다. 하지만 그 중 의미 있는 순자산 규모를 갖춘 건 상위 5곳에 불과하다. 현재 '아크 인베스트'의 미국 ETF 운용사 순위는 27위에 불과하다. 주목할 건 아크 인베스트의 '아크 21셰어즈 비트코인 ETF'가 상위 4위라는 사실이다. 그만큼 캐시 우드 CEO가 비트코인에 진심이라는 걸 알 수 있다.

17358672564638.jpg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의 최대 수혜자는 블랙록이다. 자산규모 1위를 차지한 블랙록의 '아이 셰어즈 비트코인 신탁(IBIT) ETF'는 벌써 55만개가 넘는 비트코인을 확보해 전체 비트코인 물량의 2.6%를 보유 중이다. 비트코인 평가규모는 무려 76조5000억원(527억달러)에 달한다.

2위는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GBTC) ETF'로 자산규모는 28조4000억원(196억달러)이다. 3위는 '피델리티 와이즈 오리진 비트코인 신탁 ETF'로 자산규모는 27조9000억원(192억달러)이다. 1위~3위권 ETF의 자산규모가 불과 1년도 안돼 급증한 이유는 막대한 자금유입도 있지만 비트코인이 2024년에만 121% 폭등한 영향도 크다.

자산규모 4위를 차지한 '아크 21셰어즈 비트코인(ARKB) ETF'는 아크 인베스트 단독 ETF는 아니다. 암호화폐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해 스위스 기반의 암호화폐 투자 전문 기업인 21셰어즈와 협력해 ARKB ETF를 출시했다.

ARKB ETF로는 2024년 누적으로 약 3조6000억원(25억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현재 자산규모는 6조4000억원(44억달러)이다. 적은 규모는 아니지만 3위 피델리티와의 격차가 무려 4배에 달한다. 아크 인베스트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ETF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선점효과다. 4위도 상당히 높은 순위다. 미국 굴지의 ETF 운용사인 '뱅가드'와 '찰스슈왑'은 경영 철학 문제로 비트코인 ETF 시장에 뛰어들지 않았다. 뒤늦게 뛰어들더라도 이미 선두그룹을 형성한 아크 인베스트와의 격차를 역전하는 건 쉽지 않다. 캐시 우드의 비트코인 ETF 선점 전략은 성공적이다.

17358672567947.jpg
아크 인베스트 캐시 우드 대표 [사진=블룸버그]

◆ 캐시우드 CEO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

한 때 투자자들에게 추앙받았던 아크 인베스트의 캐시우드 CEO는 2022년부터 주요 ETF 수익률이 곤두박질치며 많은 투자자들에게 비난받았다. 모닝스타와 같은 펀드평가사는 아크인베스트의 전문성과 위기관리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또 극단적인 집중 투자 전략으로 인한 높은 변동성과 리스크도 지적된다. 금리 상승 환경에서도 여전히 성장주와 혁신 기술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고수하면서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많다.

캐시 우드는 혁신적인 기술과 파괴적 혁신 기업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투자 철학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발생했다. 일각에서는 캐시 우드가 과거의 성공에 도취되어 시장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캐시 우드의 잦은 미디어 출연과 과도한 홍보 활동이 실제 ETF 운용에 집중하는 데 방해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이런 부정적인 요인들이 모여 수익률이 악화되고 투자자금이 유출되면서 결국 보유주식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는 다시 ETF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돈나무 언니 캐시우드의 능력을 인정하는 투자자들도 상당하다. 어쨌든 아주 오래 전인 2018년 8월에 액면분할 전 기준으로 테슬라 주식이 4000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고 2020년에는 무려 7000달러에 도달할 거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사람들이 비웃었지만 2020년 8월에 5대 1로의 액면 분할과 2022년 8월에 3대 1로의 액면분할을 감안해 테슬라 목표주가 7000달러를 다시 환산해 보면 약 467달러다. 그런데 2024년 12월에 테슬라 주가가 488달러까지 치솟았으니 결과적으로 이 말도 안되는 전망이 맞은 셈이다.

한국인 투자자의 해외주식 보유종목 1위는 압도적으로 테슬라다. 2024년말 기준 무려 36조원(245억달러)을 보유 중이다. 작년 1년간 수익률이 무려 64%에 달한다. 상당수 한국 투자자들이 여전히 캐시우드를 뛰어난 투자자로 추앙하는 이유다.

◆ 캐시우드 비트코인 22억원(150만달러) 전망 맞을까?

최근 아크 인베스트 ETF의 수익률 개선으로 한 숨 돌린 캐시우드 CEO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비트코인 가격 전망 때문이다. 캐시우드는 그간 테슬라에 대한 가격 전망 외에 비트코인에 대해서도 꾸준히 예상 가격을 전망해 왔다.

가장 최근인 2024년 11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캐시우드는 "우리의 2030년 비트코인 목표가격은 기본 시나리오는 약 65만달러(9억5000만원), 강세 시나리오는 100만달러(14억5000만원)에서 150만달러(22억원)다."고 설명했다.

캐시 우드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주요 동력으로 규제의 명확성, 전통금융의 채택 증가, 인플레이션 감소를 꼽았다. 또 기관 투자자와 펀드매니저들이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예측에 대해 비트코인 비관론자들은 터무니없다며 일축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캐시우드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되기 훨씬 전부터 비트코인에 투자해 왔다. 캐시우드는 오래전부터 테슬라와 마찬가지로 비트코인 투자에 진심이었다. 그 당시에는 터무니없어 보였던 테슬라의 가격전망도 결국 맞춘 캐시우드다.

캐시우드가 과감하게 전망한 2030년의 비트코인 최대 150만달러(22억원)라는 낙관적인 가격 전망은 과연 맞을까?

금융위의 '24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 한국인의 비트코인 보유 금액은 무려 20조5000억원이다. 정확한 발표자료는 없지만 2024년말 기준으로는 최소 30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캐시우드의 낙관적인 비트코인 가격 전망에 한국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는 이유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