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정부, 동물용의약품 산업 2035년까지 3배 키운다…수출 1.5조 목표

코투선 0 33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정부가 동물용의약품 산업 규모를 오는 2035년까지 3배 확대하기로 했다. 수출 목표는 1조5000억원으로 세웠다.

패스트트랙 체계를 구축해 인허가 제도를 개선하고, 수출기업 지원 예산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 2035년까지 동물용의약품 산업 규모 3배 확대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대책은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단순 제조 중심에서 벗어나 신약 개발과 기술혁신 중심으로 개편하고, 수출 확대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7435568535498.jpg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 [자료=농림축산식품부] 2025.04.01 [email protected]

먼저 '대규모 연구개발(R&D) 혁신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산업계·학계 등 현장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물용의약품 연구개발 추진기획단'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개발이 시급한 국가 재난형 가축전염병 대응 백신,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반려동물용 의약품 등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보다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인허가 규제 혁신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확산하면서 산업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거한다.

신약 품목허가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이 걸리는 안전성‧유효성 자료에 대한 사전 검토제를 도입해 개발 품목의 빠른 시장 진입을 지원한다.

특히 신속 허가(패스트트랙) 체계를 구축해 통상 7~10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 예정이다.

국내기업이 해외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자료를 인정해 그동안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 등으로 국내에서 임상시험이 어려웠던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고위험병원체에 대한 백신‧치료제 개발도 촉진한다.

최근 동물의료 현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동물 희귀질환 의약품의 인허가 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등 신약 개발을 저해하는 문제점들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 수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미래혁신성장펀드 400억 투입

농식품부는 유망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경쟁력 있는 기업의 지속성장을 뒷받침한다.

수출 품목 개발과 수출국 인허가 등에 필요한 기업 지원 예산을 지속 확대해 나감으로써 수출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협력 채널 강화로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또 동물용의약품 기업에 투자가 가능한 농식품 펀드와 정책금융 지원을 통해 민간 자본 유입을 활성화하는 등 기업의 성장을 돕는다.

17435568539045.jpg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 [자료=농림축산식품부] 2025.04.01 [email protected]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그린바이오 분야와 푸드테크 분야를 통합해 미래혁신성장펀드 400억원을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험연구‧품질관리‧인허가 등 산업 분야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인력의 전문성을 높임으로써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동물용의약품이 개발‧생산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핵심인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을 국제 기준과 조화시켜 신약과 신기술 개발로 연결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한다.

다만 제조‧품질관리기준 선진화에 수반되는 시설‧장비 투자 등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오는 2030년부터 2035년까지 선진화에 필요한 항목들을 난이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본격 도입한다.

이 밖에도 동물용 백신에 시드-로트 제도를 도입해 백신 원료에 대한 품질관리를 제조사 자율 관리에서 국가가 검증하는 체계로 강화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백신 품질관리 체계를 확립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 산업 발전 방안을 통해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크게 성장시키고,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