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파운드리 세계 4위 UMC·5위 GF 합병 검토 중"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반도체 파운드리 세계 4위 업체인 대만 유나이티드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UMC)와 5위인 미국 글로벌파운드리(GF)가 합병을 검토 중이라고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합병이 성사되면 중국 SMIC를 제치고 파운드리 업계 3위로 올라서게 된다. 현재 반도체 파운드 세계 시장 점유율은 대만의 TSMC가 63.4%, 삼성전자가 12.2%, SMIC가 5.7%를 차지하고 있다.
UMC는 5.1%, GF는 4.8%다. 두 기업이 합병하면 점유율에서 SMIC를 크게 따돌리는 한편,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하게 된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합병은 중국과 대만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 내 공급 능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검토되고 있다. 미국을 거점으로 성숙 공정 반도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의 기업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는 설명이다.
니혼게이자이는 "합병이 성사되면 성숙 공정 반도체 분야에서도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진 TSMC를 대체할 조달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만 기업들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를 유도해 왔다. UMC 역시 여러 차례 미국 내 투자나 공장 인수를 요구받았으나,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는 이유로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UMC는 대만, 중국, 일본 등에 생산 라인을 갖고 있으며, 2024년 제휴한 인텔과 협력해 2027년까지 미국 내에서 12나노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다.
GF는 미국 AMD에서 분사했다.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2009년 출자한 아랍에미리트(UAE) 정부계 펀드인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가 주요 주주다. 2015년 미국 IBM의 반도체 제조 부문을 매수하기도 했다.
양사의 합병에는 걸림돌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합병을 추진할 경우 대만 및 중국 당국의 심사를 받을 가능성이 크지만, 과거 중국은 인텔이 이스라엘 동종 업체를 인수하는 것을 저지한 바 있다. 미국 정부가 미국 소유가 아닌 반도체 회사를 전폭 지원할지도 의문이다.
UMC의 류치둥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니혼게이자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합병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 않으며, GF 등 경쟁사 관련 질문에는 답변할 수 없다"고 밝혔다.
![]() |
반도체 칩 [사진=뉴스핌 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