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경제, 올해 0.1% 성장에 그칠 전망… 3년 연속 역성장 가능성도"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독일 경제가 올해 0.1% 성장에 그칠 전망이라고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경제 연구소들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 경제전망에서 예측했다.
이는 작년 9월 내놓았던 전망치 0.8%에서 크게 후퇴한 것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독일은 지난 2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주요 7개국(G7) 중 유일했다. 2023년에는 -0.3%, 작년에는 -0.2% 역성장했다.
![]() |
지난 2023년 11월 8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금융 지구의 야경. [사진=로이터 뉴스핌] |
로이터통신은 "(상황이 조금만 더 나빠져도) 독일 경제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독일경제연구소(DIW)와 킬세계경제연구소(IfW), 할레경제연구소(IWH), 경제사회연구소(IHS), 라인-베스트팔렌경제연구소(RWI) 등 5개 연구소는 이날 공동 경제전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고 있는 상호관세 부과는 독일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독일이 받는 부정적 영향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두 배로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IHS의 클라우스 바이어슈트라스 연구원은 "트럼프의 공격적인 무역 정책이 세계 경제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특히 예측 불가능성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 변동은 거의 매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은 전례 없는 수준으로 커졌다"고 말했다.
다음달 초 출범할 독일 차기 연립정부의 대대적인 부양책도 올해는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RWI의 토르스텐 슈미트 연구원은 "차기 정부는 인프라와 국방 등에 대대적인 예산 투입을 추진하지만 이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중도우파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연합과 중도좌파 사회민주당(SPD)은 지난 9일 연립정부 구성 방안에 최종 합의했다. 차기 총리 선출과 연정 공식 출범은 5월 둘째 주에 이뤄질 전망이다.
독일 연정은 향후 12년 동안 인프라에 투자하기 위해 5000억 유로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고, 국방에 대해서는 엄격한 재정준칙을 적용하지 않고 소요가 제기되는 모든 지출에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이 같은 정부 지출 증가로 1.3%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계속되는 경기 침체는 독일 노동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실업률은 올해 6.3%를 기록해 작년(6.0%)보다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플레이션은 올해 2.2%를 기록한 뒤 내년 2.1%로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