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작년 외국인 환자 유치 117만명…15년만 '역대 최대'

코투선 0 26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명으로 집계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명으로 2023년(61만명) 대비 약 2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환자 유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23.5% 수준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2만명으로 급감했다가 이후 3년간의 회복 단계를 거쳤다.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5만명에 이른다.

◆ 일본·중국 환자 70만명 방문…피부과 방문 늘어

진료·치료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국가는 202개국이다. 이중 일본·중국의 경우 70만2000명으로 전체 외국인 환자의 60%를 차지한다. 미국 10만2000명(8.7%), 대만 8만3000명(7.1%) 순이다.

17435640513895.jpg
연도별 외국인 환자 수(2009~2024) [자료=보건복지부] 2025.04.02 [email protected]

권역별로는 동아시아의 방문이 81만명으로 69.3%를 차지한다. 미주 11만7000명(10%), 동남아시아 11만2000명(9.6%)다. 일본은 지난해에 이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2023년 대비 132.4% 증가한 2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대만은 2023년 대비 550.6%로 가장 높게 증가 높게 증가해 지난해 9위에서 올해 4위로 상승했다.

미국은 2023년 대비 32.2%가 증가해 10만2000명이다. 캐나다도 2023년 대비 58.3% 증가해 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태국의 경우 3만8000명이 방문했다. 싱가포르는 2만7000명이다. 러시아는 1만700명으로 2023년 대비 12.9% 증가했다. 카자흐스탄은 1만4000명으로 2023년 대비 22.6% 늘었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대부분 피부과 진료를 위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부과 진료를 위해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70만5000명으로 전체 진료 과목 중 56.6%를 차지한다.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이다.

2023년과 비교하면 피부과는 194.9% 증가했다. 한방통합 84.6%, 내과통합 36.4% 순이다. 복지부는 이같은 이유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수준의 호감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발표된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산업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국가 19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

◆ 외국인 환자, 종합병원 줄고 의원 방문 늘어…85.4%, 서울로

외국인 환자 82%는 의원을 가장 많이 방문했다. 종합병원 6%, 상급종합병원 5.1%다. 의원을 이용한 환자는 2023년 대비 138.4%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한의원 113.2%, 치과병원 24.7%다.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2023년 대비 줄었다. 종합병원은 2023년 8만2000명에서 2024년 7만명으로 14.4% 감소했다. 상급종합병원은 2023년 6만4000명에서 2024년 5만9000명으로 7.6% 줄었다.

김동현 복지부 보건산업해외진출과장은 "외국인 환자가 주로 관심 갖는 진료 과목이 피부과와 성형외과인데 진료과들이 의원급에서 많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세계적으로 상위 수준인 암, 심장질환, 척추, 난임, 재활 진료도 알리려고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17435640517024.jpg
지역별 외국인 환자 현황 [자료=보건복지부] 2025.04.02 [email protected]

지역별 현황에 따르면 서울은 전체 외국인 환자의 85.4%인 100만명을 유치했다. 경기 4.4%, 부산 2.6%, 제주 1.9%, 인천 1.8% 순이다. 비수도권 지역도 제주 221%, 부산 133.6%, 충북 116.1%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주는 2023년 대비 피부과를 위해 방문한 외국인 환자 수가 781.4% 늘었다. 부산은 피부과 674%, 한방통합 170.9%, 치과 156.5%, 성형외과 127.8% 순이다.

김 과장은 "비수도권 지역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라며 "지역 맞춤형으로 유치 기관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전국 단위 유치 사업 설명회도 개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외국인 환자 유치로 발생한 경제적 효과는 2023년 기준 3조9000억원이다. 생산 유발 효과는 6조9000억원에 달한다. 김 과장은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참고해 1인당 진료비와 외래 관광객 동반자에 대해 추산한 자료"라고 밝혔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7년 달성 목표였던 70만명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려는 정부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며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의료와 관광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확대와 현장 체감형 법·제도 정비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