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계절'에 애플이 웃었다...1분기 첫 역전극에 '화들짝'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지켜온 '1분기 철옹성'이 흔들렸다. 플래그십 모델 출시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이 사상 처음으로 판매량 기준 1위를 차지하면서다. 삼성전자의 텃밭에 애플이 본격 진입하면서 양사 간 주도권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 |
서울 중구 명동 애플스토어에서 고객들이 애플 신제품 아이폰16 시리즈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사진=뉴스핌DB] |
◆'아이폰16e' 앞세워 삼성 1분기 아성 흔든 애플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 14일 지난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기준 애플이 19%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삼성은 18%로 뒤를 이었다. 1분기 기준 소비자가 실제 구매한 판매량 기준으로 애플이 삼성을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분기는 삼성의 최신 갤럭시 S 시리즈가 출시되는 시기로, 전통적으로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던 구간이다. 지난 2023년과 2024년 1분기 삼성전자의 판매량 기준 점유율은 각각 21%, 20%로, 같은 기간 20%, 19%에 그쳤던 애플에 모두 앞선 바 있다. 애플은 주로 하반기에 신제품을 출시, 특히 4분기 판매량에서는 삼성전자를 앞서왔다.
그러던 애플이 1분기 전략적인 타이밍으로 반격에 나섰다. 지난 2월 선보인 '아이폰16e'는 가격 부담을 덜어낸 중간 가격대 모델로, 고가 모델에 접근이 어려운 소비자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했다. 특히 일본, 인도 등 중저가 수요가 큰 시장에서 판매량을 견인하며 점유율 확대에 성공했다. 애플은 이 모델을 통해 아이폰17 시리즈가 나오기 전까지의 공백을 메우며 소비자 이탈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여기에 삼성의 갤럭시S25 시리즈 출시 시기가 예년보다 늦어진 점, 미국 내 관세 불확실성으로 소비자들이 '미리 사두기'에 나선 것도 애플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을 시사하며 중국산 IT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거론했고, 이는 애플 제품 수요를 앞당기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출하량 기준으로는 삼성전자(20%)가 여전히 애플(19%)보다 근소하게 앞서며 1위를 유지했다. 카운터포인트를 비롯해 IDC, 카날리스 등 조시기관 모두 숫자는 달랐지만 삼성전자의 우위를 점쳤다. 출하량은 제조사가 유통사에 공급한 수치를 의미해 판매량보다는 시장 전체 공급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하지만 실제 소비자 반응을 보여주는 판매량에서 밀린 것은 삼성 입장에서 경계할 대목이다. 특히 갤럭시S25의 사전 판매량(130만대)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1분기 삼성전자의 깜짝 실적은 견인한 만큼 삼성전자에 미친 충격파는 작지 않았다.
![]() |
![]() |
상위 5개 브랜드별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위)과 출하량 점유율(잠정치) [사진=카운터포인트] |
◆폴더블·중저가로 전선 확대, 삼성은 '텃밭' 지킬 수 있을까
무엇보다 애플의 다음 행보가 삼성에게는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애플은 내년 하반기 자사 첫 폴더블폰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이 시장은 삼성전자가 2019년 첫 폴더블폰을 출시한 이후 줄곧 선도해온 분야다. 현재 삼성은 글로벌 폴더블 시장에서 40~50% 수준의 점유율을 유지 중이지만, 애플이 본격 가세할 경우 충성도 높은 아이폰 이용자층을 바탕으로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중저가 시장에서도 애플은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아이폰16e는 기존 보급형 SE 모델보다 상위 가격대에 포지셔닝했지만, '가성비' 프리미엄을 노린 중간 가격 전략으로 소비자 선택지를 넓혔다. 삼성의 A 시리즈가 지배하던 중저가 시장에도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애플의 공세에도 불확실성은 존재한다. 대표적인 변수는 미·중 무역 갈등이다. 현재 아이폰 생산량의 8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애플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가격 경쟁력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관세 리스크와 글로벌 수요 둔화를 반영해 올해 스마트폰 시장 성장률이 당초 4%에서 0%대에 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통 강세 구간에서 밀렸다는 것은 경고등이 켜졌다는 의미"라며 "삼성 입장에선 플래그십뿐 아니라 중저가, 폴더블 시장까지 전 방위 방어가 필요해졌다. 제품 경쟁력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과 가격 전략까지 전반적인 재정비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