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건식 전극 시대' 성큼…K-배터리 3사, 분쟁 최소화 '고민'

코투선 0 18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의 '건식 전극(Dry Electrode)' 기술을 둘러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간한 '2025 건식 전극 특허 전략 리포트'에 따르면 건식 전극 공정은 배터리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주요 업체들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상용화 시기가 앞당겨지는 추세다.

17453802593678.jpg
[자료=SNE리서치]

건식 공정은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 전극 공정에서 활물질을 고체 파우더로 만들어 금속 극판에 코팅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건식 전극 기술과 관련된 세부 특허 분석, 국내외 기업의 회피 전략, 그리고 향후 수익 모델까지 폭넓은 분석이 필요하며 향후 배터리 시장에서 기술력·비용·환경성을 모두 잡으려면 건식 전극 공정이 사실상 필수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라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해외기업 중 테슬라는 지난 2019년 맥스웰을 인수하면서 건식 전극 기술을 선도적으로 확보했으며, 이르면 2025~2026년에 양산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중국 CATL은 올해 점진적 양산을 추진하기 위해 일부 대형 셀에 건식 공정 적용을 검토 중이며 비야디(BYD)는 올해 내로 소규모 파일럿을 운영해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역시 특허 회피 및 분쟁 최소화를 위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8년 양산 전환을 목표로 오창 플랜트 등에서 파일럿 라인을 운영하며 공정 개선을 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파일럿 라인을 운영하고 있는 삼성SDI도 내년 초 시범 생산 후 양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SK온 역시 미국·중국 합작공장에서 관련 파일럿 라인을 일부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선두업체들이 확보한 건식 전극 특허를 우회하기 위해 핵심 바인더 조성 변경, 공정 조건·장비 차별화, 크로스 라이선스(Cross-License) 협상 강화 등 복수의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전략이 향후 특허 분쟁을 최소화하고 건식 전극 공정 도입 속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기술적·법적 장벽이 높아, 무리한 양산 일정 단축 시 생산 안정성과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된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건식 전극 기술이 기존 습식 공정 대비 친환경적이고 제조 효율도 높아, 한 번에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는 혁신 영역으로 꼽힌다"면서도 "다만 특허 분쟁 리스크와 대규모 설비 투자가 요구되는 현실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섣불리 시장에 진입했다가 오히려 적기를 놓치는 사례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건식 전극 공정 관련 특허·기술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어떻게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도입하느냐가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판도를 좌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