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유럽 보험감독 수장 "美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 의심스럽다"

코투선 0 8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유럽의 보험감독당국 수장이 미국 국채의 '안전자산' 지위에 의구심을 표명했다.

현지시간 17일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유럽 보험 및 기업 연금 감독국(EIOPA: European Insurance and Occupational Pensions Authority)'의 페트라 힐케마 의장은 비공개 회의에서 최근 미국 국채 시장의 발작에 가까운 가격 급변동은 무위험 자산으로 여겨졌던 미국 국채의 지위에 의문을 던진다고 경고했다.

유럽의 보험 업계와 연기금을 관장하는 금융감독당국이 당장 구체적인 대응(달러자산에 대한 광범위한 리밸런싱)에 착수할 조짐은 없다 해도 금융감독 수장의 이러한 발언과 인식은 미국 국채에 대한 주변 동맹들의 시각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얼마나 급변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고 블룸버그는 의미를 부여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이 자산시장내 '현금으로 탈주'를 야기하면서 지난주 미국 금융시장에서는 광범위한 '달러자산 투매(Sell USA)'가 벌어졌다.

미국의 장기물 국채 가격이 미국 주식 및 달러와 동반 급락하는 과정에서 국채시장 변동성은 급증했고 (글로벌 금융시장내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 금리는 주간 기준 2021년 이래 최대폭으로 치솟았다.

17449347553875.jpg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투하 이후 미국 국채시장의 변동성이 급증했다 [사진=블룸버그]

시장에서는 레버리지를 낀 헤지펀드들의 베이시스 트레이드와 본드-스왑 스프레드 포지션 등이 급하게 되감기(청산)면서 국채 금리 급등을 초래했다는 관측이 일었다.

일각에선 중국과 일본이 이번 국채시장 발작의 배후(트럼프 관세에 맞서는 중국의 미국 국채 투매 및 엔 캐리 청산에 따른 미 국채 매도가 배후)라는 추측이 나돌기도 했다.

이렇게 미국 국채를 빠져나온 자금들은 대체 피난처인 금과 독일 국채 등으로 황급히 달아났다.

유럽 소식통에 따르면 EIOPA의 힐케마 의장은 헤지펀드나 프라이빗 크레딧 등 투명성이 떨어지는 부문에서 문제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나아가 국채가 아닌 유가증권을 담보로 한 거래에서 유동성 압박이 생겨날 위험도 도사린다고 경고했다. 이는 자산시장 내 금융거래에 활용되는 담보들이 전방위 리프라이싱에 휘말리는 상황을 가리킨다.

이는 폭발적 연쇄반응을 예정한다. 가령 주식 담보로 주식을 매입한 기관들,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상품에 노출돼 있는 기관들이라면 동시다발적 마진콜 압력에 직면해 투매의 악순환이 벌어지게 된다.

담보로 활용된 국채와 주식, 회사채, 유동화증권 등의 가격이 무너지면서 격렬한 연쇄반응이 일었던 가까운 사례는 2020년 3월의 팬데믹 쇼크, 그리고 2008~2009년의 금융위기 사태가 있다.

17449347557688.jpg
미 달러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08.17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