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상호관세 쇼크] 유럽, 중국의 덤핑 수출 차단 위해 '긴급 관세' 도입 추진

코투선 0 16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 이후 중국산 덤핑 물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새 긴급 관세 도입을 준비하고 있으며, 수입 동향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7437656578577.jpg
유럽연합(EU) 깃발 [사진=로이터 뉴스핌]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 상품들이 '재고 정리' 수준의 싼 가격으로 유럽 시장에 쏟아져 들어올 가능성이 커지면서 유럽의 산업 기반이 붕괴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데 따른 것이다.

EU 집행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FT에 "(미국의 관세 부과 이후에도) 중국은 과잉 생산량을 해외로 수출하는 모델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EU는 이미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5%의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제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EU 집행위 관계자들은 "이미 행동에 옮길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고 있다고 한다. 한 고위 관계자는 "갑자기 (중국에서) 수입품이 쏟아져 들어온다면 우린 문을 굳게 걸어 잠글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미국과 무역을 하는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EU에 대해서는 20%, 중국에는 54%(기존 20% 포함), 베트남에는 46%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적용받으면서 이들 국가들은 미국 이외 지역으로 수출길을 뚫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유럽이다. 

도이체방크의 수석 독일 이코노미스트 로빈 윙클러는 "아시아에 대한 (미국 관세의) 즉각적인 무역 충격은 유럽 쪽으로 전가될 것"이라며 "미국의 강력한 관세 장벽에 직면한 중국 업체들은 유럽에 더 많은 제품을 팔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로 인해 이들 국가들이 유럽으로 여분의 생산 능력을 재배치할 수 있다면서 "이는 유럽 대륙의 산업에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럽이 보호막을 강화하면서 중국과 긴장 상태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EU 집행위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우리 산업에 대한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고, 이는 중국과의 또 다른 긴장 지점이 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