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측근 플라이츠 "상호 관세는 협상 신호탄....협상 거치면서 바뀔 것"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은 미국이 한국에 25% 상호 관세를 부과한 것은 최종적 결정이 아니며 한·미 간 협상을 통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종연구소 주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동아시아 안보'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미국이 한국에 관세를 부과한 것은 "협상의 신호탄'이라며 "협상을 거치면서 바뀔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는 또 "한국은 이런 협상에서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서울 =누스핌] 유신모 기자 =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이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종연구소 주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동아시아 안보' 포럼에 참석해 토론을 경청하고 있다. 2025.04.03. [email protected] |
플라이츠 소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비서실장을 지냈으며, 최근까지 트럼프 2기 정권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다. 그가 몸담고 있는 AFPI는 친(親) 트럼프 성향의 싱크탱크다.
플라이츠 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배경에 대해 '공정성'을 언급했다. 그는 "다른 국가가 미국산 수입에 관세를 매기면서 자국 상품을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하는 것은 공정치 못하다"고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이어 "동맹국은 같이 가야 하지만 파트너 국가들도 제 몫을 해야 한다"면서 "한국과 미국 관계는 상당히 많은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정책은 '반(反)동맹'이 아니라 공평한 동맹 관계를 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이 관세뿐 아니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이나 조선 등 분야에서 미국과 협상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는 "중국 해군의 성장을 따라잡기 위해 미국은 해군 함정 건조 분야에서 도움이 필요하다"며 "한국의 도움이 절실하고 이미 (한미 간)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인 걸로 알고 진전이 있으리라고 본다"고 전했다. 알래스카 LNG 사업과 관련해서는 "한국의 장기적 에너지 안보에 큰 득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차기 한국 정부에서 우선순위 과제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 독재자와 친하다는 지적에 대해 플라이츠 부소장은 "적국 지도자라 하더라도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며 "상대방과 합의를 도출하게끔 같이 가려는 것"이라고 옹호했다.
북·미 대화 추진과 관련해 플라이츠 부소장은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다면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려고 할 것"이라며 "북·미 정상회담이 있기 전에 먼저 한국, 일본과 심층적인 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람프 행정부가 주한 미군을 감축하거나 철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 플라이츠 부소장은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의무를 거론하면서 "주한 미군 병력이 감축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주한 미군의 역할 변화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포럼에 참석한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는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우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가 미국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는 형태로 윈윈(win-win) 포뮬러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 차관보는 또 "언젠가는 미·북 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며 "한반도 문제 당사자인 한국 입장이 반영되는 형태로 (북·미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고 이에 대해서는 미국 내에서도 상당히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