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컨슈머리포트 "유명 초콜릿 제품 3분의 1 카드뮴·납 유해 수준"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국의 비영리 소비자단체인 컨슈머리포트는 25일(현지시간) 48개의 초콜릿 제품을 시험 분석한 결과 16개 제품에서 유해한 수준의 카드뮴 또는 납이 들어있었다고 밝혔다. 컨슈머리포트는 특히 식품업체 허쉬에 초콜릿 내 중금속 함량을 줄여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테스트는 다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 코코아 가루, 초콜릿 칩, 브라우니 믹스, 초콜릿 케이크, 핫 초콜릿 등 7가지 범주로 나눠 실시했다. 과도한 금속 함량을 함유한 것으로 밝혀진 제품 중에는 미국 월마트에서 파는 다크 초콜릿 바와 핫초콜릿 믹스, 허쉬와 드로스테의 코코아 파우더, 타겟(TGT)의 초콜릿칩, 드레이더 조스, 네슬레 및 스타벅스의 핫초콜릿 믹스 등이 있다. 7가지 종류 제품 중 코코아 고형분이 적은 밀크 초콜릿 바만이 유일하게 금속 함유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다.
금속에 오랜 기간 노출되면 신경계 문제, 면역체계 억제, 신장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임산부와 어린이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컨슈머리포트는 지적했다.
컨슈머리포트는 지난해 12월에도 허쉬, 릴리, 슈라펜 버거 등 여러 브랜드의 초콜릿을 조사했는데 다크 초콜릿바 28개 중 23개에서 납 또는 카드뮴이 과도하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컨슈머리포트의 식품 정책 책임자인 브라이언 론홀름은 허쉬가 "선도적이고 인기 있는 브랜드로서, 위험한 수준의 중금속을 제거해 좀 더 안전한 초콜릿 식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컨슈머리포트는 조사 후 허쉬에 초콜릿 함유 중금속을 줄이도록 청원했으며 여기에는 미국 내 7만5000명 이상의 소비자가 서명했다.
지난 3월 허쉬는 초콜릿의 원산지에 따라 자연 발생 성분인 납과 카드뮴이 포함될 수 있어 함유량을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허쉬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한 논평을 미국제과협회로 돌렸다. 크리스토퍼 긴들스버거 제과협회 대변인은 "초콜릿과 코코아는 먹기에 안전하며 수백년 동안 간식으로 즐겨왔다"고 말했다.
![]() |
미국 뉴욕시 맨하튼에 있는 한 매장 진열대의 허쉬 초콜릿[사진=로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