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안경 브랜드 와비 파커 AI 변신 ① 구글과 스마트 글래스 도전

코투선 0 6

이 기사는 5월 23일 오후 3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국의 평범한 안경 브랜드가 인공지능(AI)과 만나 주가 폭등을 연출하고 있다.

월가의 조명이 집중된 종목은 와비 파커(WRBY). 5월22일(현지시각) 업체의 주가는 20.17달러에 거래를 종료해 최근 5거래일 사이 약 14% 상승 탄력을 과시했다. 이에 따라 연초 이후 낙폭이 20.43%로 축소됐다.

투자자들이 와비 파커에 공격적인 '입질'에 나선 것은 구글의 인공지능(AI) 글래스 개발의 파트너로 선택 받았다는 소식 때문이다. 소식이 전해졌던 5월20일 업체의 주가는 16%에 달하는 폭등을 연출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와비 파크는 알파벳(GOOGL)의 자회사 구글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AI 글래스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구글은 AI 글래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메타 플랫폼스와 각축전을 벌이는 상황. 차세대 블록버스터로 기대를 모으는 제품 개발에 와비 파커가 동참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투자자들은 일제히 '사자'에 뛰어들었고, 투자은행(IB) 업계는 목표주가를 높여 잡는 움직임이다.

무엇보다 스마트 글래스가 머지 않은 미래에 스마트폰을 대체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이번 구글과 와비 파커의 제품 개발에 월가가 뜨거운 관심을 보인다. 특히 미국의 대중적인 안경 브랜드인 와비 파커가 최첨단 IT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된 데 커다란 의미를 둔다.

1748041560167.jpg
와비 파커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구글은 공식 성명에서 "와비 파커가 안드로이드 확장현실(XR) 글래스를 제작하는 최초의 안경 브랜드 파트너가 될 두 개 업체 중 하나"라고 발표했다.

업체의 샤람 이자디 이사는 "와비 파커가 가진 글래스 부문의 전문성과 옴니 채널, 여기에 진보한 기술력을 디자인으로 승화시키는 역량이 이번 파트너 선정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며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업체라는 점에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에 기반한 스마트 글래스 제작에 적합하다는 판단"이라고 전했다.

17480415605234.jpg
와비 파커 매장 [사진=업체 제공]

와비 파커 역시 성명을 통해 "구글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하루 종일 착용할 수 있는 AI 기반의 글래스를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두 업체는 2025년 이후 첫 AI 글래스를 공식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구글은 기술 개발과 마케팅을 위해 7500만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와비 파커에 최대 7500만달러를 직접 투자할 예정이다.

1억5000만달러에 달하는 현금 유입이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 뿐 아니라 차세대 기술 및 제품 개발에 공격적인 투자를 강행하는 알파벳과 손잡은 데 따라 와비 파커가 지금까지 생각할 수 없었던 성장 모멘텀을 얻게 됐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이번 구글과 파트너십이 와비 파커에 중장기적인 기술 혁신과 고성장 가능성을 예고하는 상징격이라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시장 전문가들은 태동하기 시작한 스마트 글래스 시장이 장기적으로 고성장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2025년 전세계 시장 규모가 8억5740만달러로 예상되는 가운데 2032년 23억860만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코히런트 마켓 인사이트는 보고서에서 전세게 AI 글래스 시장이 2032년까지 연평균 15.2%의 고성장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헬스케어와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이 접목되면서 소비자들의 수요가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이다. 기술이 진보하면서 제품의 무게가 점차 가벼워지고 디자인이 개선될수록 수요가 더 빠르게 뛸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비즈니스 와이어에 따르면 2024년 전세계 스마트 글래스 판매 규모가 152만대로 파악됐다. 미국 뿐 아니라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 기업들이 급팽창할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축전이 뜨겁다. 지난해 중국 브랜드의 판매 비중은 3%로 파악됐다.

일부에서는 미래 스마트폰을 대체할 제품으로 스마트 헤드셋을 지목하지만 대다수의 IT 업계 전문가들은 글래스가 유력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기존의 안경 사용 인구가 많아 익숙한 데다 눈과 귀, 입의 거리를 감안할 때 헤드셋보다 글래스의 편의성이 더 크다는 설명이다.

구글과 와비 파커가 공동 개발하는 스마트 글래스는 텍스트와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이른바 '멀티모달 AI' 형태를 취할 예정이다. 제품은 처방전 주문 렌즈와 일반 렌즈 모두 사용할 것이라고 와비 파커는 전했다.

AI 기술이 진화할수록 멀티모달 AI가 글래스에 최적화될 것이라고 업체는 강조한다. 실시간으로 문자를 주고 받거나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사실 알파벳은 지난 2013년 구글 글래스(Google Glass)를 출시해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문제가 불거지면서 프로젝트에서 발을 뺐다.

이번 파트너십을 스마트 글래스 시장으로 복귀를 의미하는 데다 이미 주도주로 부상한 메타 플랫폼스와 에실로룩소티카에 도전장을 낸 것이라는 점에서 또 한 차례 조명을 받고 있다.

레이 벤을 만들어낸 메타와 에실로룩소티카는 지난 2023년 스마트 글래스 두 번째 모델을 선보인 데 이어 조만간 디스플레이 크기를 축소한 세 번째 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다. 메타는 이미 스마트 글래스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분기 실적 발표 자리에서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1년 사이 제품 판매가 세 배 급증했다고 밝혔다. 2월 말 기준 누적 판매 규모는 200만대에 달했다.

구글은 와비 파커 이외에 퀄컴과 소니, 삼성전자, 엑스리얼, 매직 리프 등 it 업체들과도 안드로이드 XR 개발을 위해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과 와비 파커는 2025년 이후 첫 스마트 글래스를 선보인 후 연이어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메타가 이미 앞서 나가는 시장에서 차별화를 위해 구글은 각 소비자들의 개인적인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승부를 건다는 계획이다.

구글과 와비 파커는 제품 가격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다만, 와비 파커의 안경이 대부분 고가보다 중저가에 해당하지만 AI 기술이 접목된 제품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제품과 가격대가 달라질 수 있다고 월가는 판단한다.

메타가 공급하는 레이 밴은 300~500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기능을 향상시킨 최신형 제품의 가격은 1000~1400달러로 오를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번 AI 글래스 발표는 구글의 제미나이(Gemini)가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TV와 자동차 등 다양한 제품에 접목된 데 이어 또 한 차례 영역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월가는 의미를 둔다

업체는 카메라와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을 장착한 스마트 글래스가 스마트폰과 상호 작용하며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도 다양한 앱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구글의 한 단계 도약에 관심이 모아지는 만큼 전통적인 안경 브랜드 와비 파커의 변신을 둘러싼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