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트럼프, 모디 印 정부에 외교, 정치·경제 어려움 안겨"

코투선 0 6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와 파키스탄 간 충돌 중재를 위해 나섰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인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외교, 정치·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됐다고 블룸버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 앤디 무케르지가 분석했다.

1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가 실은 글에서 무케르지는 "트럼프 대통령 미국의 중재로 인도와 파키스탄이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서둘러 발표한 것으로 인해 모디 총리가 인도 내에서 비난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인도가 그 동안 카슈미르 분쟁과 관련해 제3국의 개입을 거부하고 파키스탄과의 양자 협상을 통한 해결을 강조해왔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미국이 공식적으로 분쟁 당사자로 등장하게 됐고, 이로 인해 모디 정부가 외교적 주권과 기존 입장을 약화시켰다는 비난을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인도 외교 당국이 파키스탄과 관련해 정책 변화가 없다고 밝혔지만 이는 사실상 핵 보유국인 이웃 국가 간의 향후 갈등을 통해서만 검증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모디 총리는 정치·경제적으로도 불편함을 겪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와 파키스탄이 전격 휴전에 합의하게 된 '중요한 이유'로 무역을 언급한 것이 인도 야당에 모디 정부를 비난할 '빌미'가 됐다고 무케르지는 분석했다.

그는 "인도 야권은 인도가 과거 미국 행정부의 중국 견제 노력에 동참했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받게 된 데 의문을 제기해 왔다"며 "이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의) 국가 안보보다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을 방관하는 이유를 모디 총리에게 묻고 있다"고 말했다.

무케르지는 "애플이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계획에 반대했다"며 미국이 중국과는 무역 전쟁을 중단하고 인도와는 무역 합의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이 탈중국 필요성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7월 9일까지로 예정된 상호 관세 부과 유예 기간이 끝나면 인도산 수입품은 26%, 중국산 상품은 30%의 세율이 적용될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이러한 격차로는 인도를 '글로벌 제조 허브'로 홍보하기에 역부족이다. 14억 인구의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저렴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업하기 어려운 곳으로도 악명이 높다"고 지적했다.

무케르지는 인도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여전히 불리한 입장에 있다고도 평가했다. "인도 협상단이 양자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가운데, 인도는 이번 협상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대응 의지를 밝혔다"며 그러나 트럼프에 대한 보복 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으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과 휴전을 연결짓고, 인도가 미국에 무관세를 제안해 왔다고 밝힌 것은 협상에서 미국이 여전히 유리한 입장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17476509585683.jpg
[워싱턴 로이터=뉴스핌] 2월 13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2.14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