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중국, 플라스틱 원료에 반덤핑 관세...우리나라에는 8년째 부과중

코투선 0 6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이 미국, EU, 대만, 일본산 플라스틱 원료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들 지역에서 생산된 폴리포름알데히드(POM) 제품에 19일부로 관세를 부과한다고 18일 발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해 5월 미국, EU, 대만, 일본에서 생산되어 수입되는 폴리포름알데히드 제품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실시했다. 상무부는 덤핑 판매가 있었는지, 중국의 폴리포름알데히드 산업에 피해를 입혔는지, 덤핑과 피해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등을 조사해 왔다. 상무부는 지난 1월 덤핑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중국의 산업이 피해를 입었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 상무부는 18일 최종 조사가 종료됐으며, 최종 결정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상무부는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건의했으며,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19일부터 미국, EU, 대만, 일본산 폴리포름알데히드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산에는 74.9%의 관세가 부과된다. EU산에는 34.5%, 일본산에 35.5%, 대만산에는 32.6%의 관세부과가 결정됐다. 다만 일본의 화학기업인 아사히 카세이에는 24.5%, 대만의 포모사플라스틱그룹과 폴리플라틱스타이완에는 각각 4%와 3.8%의 관세를 적용했다.

폴리포름알데히드는 구리와 아연 등을 대체할 수 있는 공업용 플라스틱 원료 물질로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기계 제품, 건자재, 의료 장비 등에 널리 사용된다. 중국도 폴리포름알데히드를 제조하고 있지만, 기술 장벽이 높은 일부 제품은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다.

앞서 중국은 2017년부터 한국·태국·말레이시아에서 수입하는 폴리포름알데히드 제품에 6.2∼34.9%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고, 2023년 10월 이 조치를 2028년 10월까지 5년간 연장 적용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업체인 코오롱플라스틱에는 6.2%의 관세가 부과중이다.

17476113582989.jpg
중국 상무부 [신화사=뉴스핌 특약]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