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 "여성·장년층 노동시장 참여 확대" 강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사무국장이 미래 일자리 대응 방안 관련 여성과 장년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페드로사 사무국장은 12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기자 간담회에서 "남성보다 낮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페드로사 사무국장은 "장년층의 노동 참여를 어떻게 확대할 수 있을 것인가 (중요하다)"며 "사회적 효익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 |
김민석 고용노동부 장관 직무대행(가운데),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왼쪽), 윤성미 APEC SOM 의장(오른쪽)이 12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를 마치고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고용노동부] 2025.05.12 [email protected] |
기자 간담회에는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 외에도 이번 고용노동장관회의 의장을 맡은 김민석 고용부 장관 직무대행, 윤성미 APEC 고위관리회의(SOM) 한국 의장이 참석했다.
한국의 경우 생활 수준에 비해 성별 임금격차가 크고 유리천장이 견고하다는 지적에 페드로사 사무국장은 "유리천장은 이번 (고용노동)장관회의에서 중요하게 논의했다"며 "APEC 내 이를 전담 논의하는 여성 경제에 대한 정책 파트너십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장관 직무대행은 "노동시장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 중 하나"라며 "독일 같은 경우 성에 대한 임금 격차를 해소하고 차별을 근절해야 한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김 대행은 "다른 나라도 오늘 논의 과정에서 여성, 장애인, 고령자 관련 문제를 다수 제기했다. 이번에 저희(한국)가 제시한 'APEC 지속가능한 포럼'이 경제체들의 지지를 받아 (신설) 합의가 됐다"며 "(포럼을 통해) 세부적으로 논의해 각 경제체와 교류는 물론 구체적 실천과 연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앞서 김 대행이 발표한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 개회사에 따르면 지속가능한 일자리 포럼은 내년부터 서울에서 열린다. 한국은 해당 포럼을 정기 개최하고 글로벌 일자리 정책 협력의 장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
김민석 고용노동부 장관 직무대행(가운데),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APEC 사무국장(왼쪽), 윤성미 APEC SOM 의장(오른쪽)이 12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APEC 고용노동장관회의를 마치고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고용노동부] 2025.05.12 [email protected] |
김민석 대행은 "아직 성별 임금격차가 남아 있고 이런 부분이 현실적으로 남녀 간 불평등을 초래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기도 하다"면서 "앞으로 이런 논의를 통해 격차나 차별을 해소하는 방안을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의로운 전환 원칙에 따라 산업 전환이 발생해도 고용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정의로운 전환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부담을 여러 사회구성원이 분담하고 취약계층 피해를 최소화하는 국제적 원칙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가 확대돼도 내연기관 차량 생산 및 정비 인력의 고용 불안을 해소하는 정책 방향 등이 이에 해당한다.
페드로사 사무국장은 이날 "고용노동장관회의가 열린 지 11년이 됐다. 지난 세월 동안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했고 지속가능한 성장에 있어서도 전기차 등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며 "만약 석유화학업이나 주유소 등에서 일한다면 미래를 내다봐야 할 때다. 이와 더불어 전기차의 경우 인프라(확충)가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민석 장관 직무대행은 "일자리 충격을 어떻게 할 것인지, 새로운 유명 산업에 어떻게 일자리를 만들 것인지 두 가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대행은 "청년층에게 일자리 전망을 알리고 미리 직업훈련을 통해 그 자리에 스무스하게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직업훈련이 중요하고 (직업훈련 관련해서는) 사용자나 노동자, 정부 각각이 아닌 노사정 3자 협의체를 통해 대안을 만드는 것이 더 적절한 방법이라는 논의가 많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