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해수부-산업부, 자율운항선박 본격 시동…국제표준 선점 박차

코투선 0 5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자율운항선박 상용화를 위한 제도적인 기반 마련에 착수했다.

국제해사기구(IMO)가 오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MASS Code)을 제정할 방침이어서 이를 선점하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다.

◆ 주요국 기술개발 박차…"해운업 전환점 될 것"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29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회의는 '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자율운항선박법)' 시행에 따라 구성된 것이다.

이날 회의는 해양디지털을 특별의제로 하는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와 연계되어 개최됐다.

1745893257654.jpg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1800TEU급 컨테이너선 [사진=해양수산부] 2024.03.07 [email protected]

글로벌 해운·조선분야의 디지털 혁신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디지털 전환 과제인 자율운항선박 정책을 논의한다는 데 의미가 크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첨단 미래 선박으로, 세계 각국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MASS Code)을 제정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해양안전과 탄소절감에 기여하는 해운물류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추진 중인 자율운항선박 기술 표준 제정에도 우리나라의 경험과 기술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정부 차원에서 대응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정부, 자율운항선박 로드맵 연내 마련

이를 위해 정부는 자율운항선박 로드맵을 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과 상용화 촉진을 통한 해운·조선산업의 디지털 전략 수립을 위해 지난 1월 '자율운항선박법'을 시행하고, 법에 따라 자율운항선박 정책을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민·관 정책 심의·의결기구인 정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정책위원회는 공동위원장(해양수산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정부위원 5명(기재부·과기부·행안부·중기부·해경청 차관급), 민간위원(자율운항선박 전문가) 6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1차 회의에서는 민간위원 위촉장 수여식을 시작으로 ▲정책위원회 운영방안 ▲자율운항선박 R&D 정책방향 ▲법 시행에 따른 주요업무 추진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17458932580519.jpg
시험운항을 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 '해양누리호' [사진=해양수산부] 2023.11.26 [email protected]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기술 상용화를 위한 해운물류체계 전환, 전문인력 양성, 국내 제도 개편 방안 등 중장기 추진 전략을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해 연내 마련하고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연말까지 향후 10년간의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로드맵을 해양수산부와 협력해 제시할 예정"이라며 "업계의 자율운항선박 실증 결과를 기술개발 정책방향에 반영하는 등 신시장 선점에 K-조선 민관원팀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