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조선 동맹' 확대하나"...펠란 美해군성 장관 방일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미국 정부가 조선업을 둘러싸고 일본에 안보와 경제 양면에서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이 일본에 "상업 선박을 군사 전용이 가능한 사양으로 건조하는 것 외에도, 일본 기업에 미국 서해안 조선업에 대한 투자를 요청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펠란 장관은 일본을 방문해, 28일 나카타니 겐 방위상 등과의 회담에서 이를 전달할 예정이다. 일본 기업들과의 면담이나 조선소 시찰도 계획하고 있다.
그는 "동맹국이자 세계 조선업 2위 한국, 3위 일본과 협력해 미국의 부흥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하며 "이 계획은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마음에 들어 한다"고 강조했다.
대형 페리나 쇄빙선 등을 군민(軍民) 양용 사양으로 건조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는 미국 싱크탱크를 인용해 "중국에서는 상업 선박의 갑판조차 전차를 탑재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지니고 있다"고 전했다.
평시 협력 강화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요코스카 해군기지 등에 전진 배치된 미군 함선을 일본 민간 조선소에서 시험적으로 정비·수리·점검(MRO)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활동한 함선이 미국 본토로 귀환하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동맹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펠란 장관은 또한 일본 기업에 미국 조선소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방침도 밝히며 "미국 기업과의 공동 사업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다. 일본의 기술과 자금을 활용해 쇠퇴한 미국 내 조선소를 재건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조선 협력이 하나의 카드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한국의 대형 조선 기업들이 최근 잇따라 미국에 투자한 사실을 언급하며 "미일 협상에서도 조선 분야는 모든 선택지를 테이블 위에 올려야 한다. 가능한 조치 중 하나인 것은 틀림없다"고 말했다.
일본의 조선업은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 기업 규모가 작고 인력 부족으로 생산 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반면,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함정 제조사는 현재 미쓰비시중공업,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 가와사키중공업 3개 사가 있다.
![]() |
한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의 훈련 모습 [사진=해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