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글로벌 마켓 리포트 2월 13일]

코투선 0 85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대부분 하락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50% 하락한 4만4368.56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27% 하락한 6051.97로 마쳤다.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0.03% 상승하여 1만9649.95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을 반영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다. 이날 발표된 미 노동부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해 지난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3% 상승하며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크게 올랐고 시장의 예상을 상회했다.

이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시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CPI 지표에 지나치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경계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웃돌고 있어 제한적인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범유럽 STOXX 600 지수는 0.11% 상승한 547.78로 장을 마쳐 3일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독일 DAX 지수는 0.50% 상승한 2만2148.03에, 영국 FTSE 100 지수는 0.34% 오른 8807.44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 40 지수와 스페인 IBEX 35 지수도 각각 0.17%, 1.07% 상승했다. 다만 이탈리아 FTSE-MIB 지수는 0.14% 하락 마감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주요 기업들의 양호한 4분기 실적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맥주 브랜드 하이네켄은 이날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과 함께 15억 유로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시작한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14.1% 급등했다. 동종 업체인 안호이저부시 인베브와 칼스버그도 각각 2.8%와 3.2% 상승했다. 이들 업체들의 선전으로 식음료 업종은 1.09% 올랐다.

은행주도 상승 기세를 보이며 1.1% 올라 전체적인 지수 오름세를 이끌었다. 네덜란드 은행인 ABN암로는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상회하면서 8.2% 올랐다.

미 국채 가격은 일제히 상승했다. 예상보다 높은 1월 CPI 지표 때문이다.

국채 가격은 수익률과 반대로 움직인다. 이날 뉴욕 채권 시장 오후 거래에서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전장 대비 9.6bp 올라 4.635%를 기록했다. 장중에는 일시 4.66%까지 오르며 3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0.3bp 상승한 4.851%로,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일일 최대 폭으로 올랐다.

단기물인 2년물 수익률은 7.5bp 상승한 4.370%를 기록했다. 장 초반에는 4.389%까지 오르며 1월 중순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날 미 달러화의 가치는 1주일 만에 최고로 올라섰다. 예상보다 강한 물가 수치에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가 축소된 탓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 지수는 이날 0.02% 상승한 107.95를 가리켰다. 장중 일시 108.52로 1주일 만에 최고로 올라섰으나 차익 실현 움직임 속에 장중 오름폭을 줄였다.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가능성이 급물살을 타면서 2% 넘게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3월물은 전장보다 2.66% 급락한 71.37달러,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 4월물은 2.36% 내린 75.1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잇따라 통화하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즉각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국 원유 재고가 큰 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난 것도 하락 요인이다.

금값은 약보합에 마감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4월물은 0.1% 하락한 2928.7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CPI 지표 발표에 1% 넘게 빠지다가 한국시간 기준 13일 오전 4시 39분 기준 전날과 비슷한 2895.30달러를 기록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