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관세 전쟁] 중국, 트럼프와 협상채비...WSJ "전략은 이러하다"

코투선 0 28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일(이하 현지 시각)부터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기술 수출 통제를 막기 위해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중 양국 소식통을 인용해 2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계획에 대해 잘 아는 두 나라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할 10% 추가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예고했던 최대 60% 관세 위협에 비하면 "최대 압박"은 아니라는 인식 아래, 중국은 협상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상무부 또한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를 초기 대응으로 삼고, 양국 간 "솔직한 대화"를 촉구하는 등 곧바로 보복 관세 조처를 하지 않는 모습이다.

1738567258592.jpg
지난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 뉴스핌]

중국 정부는 주로 실패로 끝난 이전 무역 협정으로의 복귀에 초점을 맞추어 협상 물꼬를 틀 것이라고 이들 소식통은 전했다.

2020년 초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양측은 소위 1단계 무역 합의에 서명, 무역전쟁 휴전을 선언했는데, 중국이 향후 2년간 최소 2000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이 골자다.

당시 많은 무역 전문가는 이 합의 이행이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미·중 무역전쟁 전인 2017년에 중국이 수입한 미국산 제품은 1860억 달러로, 이를 2000억 달러 늘리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미국의 대중 수출은 연평균 33%씩 늘어나야 했기 때문이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추산에 따르면 결국 중국은 약속한 미국 상품의 58%만 구매하는 데 그쳤다.

중국 정부는 이 합의에 따른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한 것을 협상 시작점으로 향후 미국산 제품 더 많이 구매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논의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중국 정부가 전기차용 배터리와 같은 분야에 대미 투자를 늘리고, 위안화를 평가절하하지 않으며, 마약 펜타닐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 수출을 줄이겠다는 등의 약속을 협상에서 제안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또한 중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와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중국 바이트댄스를 모기업으로 둔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 사안을 "상업적 문제"로 다룰 예정이다.

본래 틱톡은 지난달 19일까지 모기업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아 '틱톡금지법'에 따라 미국 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그달 20일 취임 후 틱톡 금지를 75일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현재는 서비스가 재개된 상태다.

과거 틱톡 매각을 요구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과 중국이 50대50 합작을 언급하면서 다소 우호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이는 연방 정부는 개입하지 않고 바이트댄스가 합작에 관심이 있는 미국 기업들과 직접 거래를 협상하도록 하겠단 의미로 해석되는데, 다만 WSJ 소식통들은 중국 정부가 틱톡의 알고리즘도 거래에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할지는 불분명하다고 알렸다.

그렇다고 중국이 미국과 협상할 시간이 넉넉한 것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1단계 무역합의 이행 현황과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관행 등을 조사해 오는 4월 초까지 조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관련 부처에 지시를 내린 상태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한정 부주석은 미국 행정부 측에 틱톡, 펜타닐, 무역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할 의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