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산업연, 올해 성장률 2.1% 전망…수출은 2.2% 증가 예상

코투선 0 74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을 2.1%로 전망했다. 민간소비·설비투자의 완만한 회복과 수출 증가세 등이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미국 경제 정책 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IT 경기 회복 속도 등이 주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연구원은 1일 '새해 한국경제에 바란다' 보고서를 통해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을 2.1%로 예측했다. 올해 건설투자는 지난해에 이어 부진이 지속되겠으나 민간소비·설비투자와 수출 등은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예상이다.

17357682558391.jpg

올해 건설투자는 건설경기 선행지표 부진 여파로 0.9% 감소하며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건설투자는 토목 부문에서 다소 회복세를 보였으나 건축 부문의 선행지표 부진이 현실화되면서 감소세가 확대된 바 있다.

민간소비는 금리 인하와 실질소득 증대, 물가 안정 등의 여건 개선으로 1.9% 증가하며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설비투자 역시 금리 인하와 더불어 글로벌 IT 경기 호조, 주요 기업들의 실적 개선 등의 긍정적 영향을 받아 2.9% 증가할 전망이다.

수출은 연간 2.2%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IT 전방산업 회복과 반도체 호조 등이 이런 성장폭을 견인할 것이란 예상이다. 무역흑자 규모는 487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특히 올해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우리 통상 전 영역에 걸친 격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보편적 관세 부과 등의 정책 변화가 나타날 경우 우리 주력 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를 중심으로 대미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 있다.

17357682562154.jpg

세계 경제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인플레이션 안정과 통화 정책 완화 등은 긍정적 요인이나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은 경제 성장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경제는 소비·고용 둔화로 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으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와 트럼프 2기 정부의 감세 정책이 내수 둔화를 제한하며 지난해보다 다소 낮은 성장세가 예상된다.

일본 경제는 고물가에 대응한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으로 내수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엔저 효과로 인한 수출 증가가 일부 성장 동력을 제공하면서 1%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 경제는 역내 인플레이션 둔화로 인해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하가 내수 여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지만,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제조업 경기 침체로 수요 악세가 지속되면서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한 성장률이 전망된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내수·외수가 모두 약세를 보일 전망이지만,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와 인민은행의 완화적 통화 정책이 경기 하강을 제한해 지난해보다 소폭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된다.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은 "대외적으로는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심화로 국제 분업 체계의 변화와 첨단산업 간 무한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대내적으로는 저출생·고령화·지역소멸 등 구조적 과제와 기존 장치 산업의 성숙화가 맞물렸다"며 "요소 투입 중심의 성장 방식을 넘어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제는 이런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 성장을 도모할 혁신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전략 산업에 대한 투자와 기술 보호 체계를 가오하하고, 국제 협력을 통해 균형 있는 경제·외교 전략을 마련해 경제 안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