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뉴욕증시 프리뷰, 트럼프 관세 폭탄 발언에 미 주가 선물 급락...애플·테슬라·엔비디아↓ VS 오클로·뉴스케일파워↑

코투선 0 4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23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개장 전 미 주가지수 선물 가격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의 해외 생산 아이폰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고, 유럽연합(EU)에 50% 관세를 경고한 여파다.

미 동부시간 오전 8시 15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 대비 487.00포인트(1.16%) 하락한 4만1,438.00에 거래 중이다. S&P500 선물은 77.50포인트(1.32%) 내린 5,779.25, 나스닥100 선물은 334.75포인트(1.58%) 하락한 2만,843.50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17480037614221.jpg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애플, 미국서 생산 안 하면 25% 관세"…유럽에도 50% 관세 경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에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특정 기업을 정조준해 관세를 언급한 첫 사례로, 최근 다소 완화되는 듯했던 글로벌 통상 긴장 국면에 다시 불을 지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에 대해서는 오는 6월 1일부터 50%의 고율 관세를 전면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애플에 대해 25% 관세 경고를 날린지 불과 30분 만이다. 

자신의 트루스 소셜에서 트럼프는 "EU는 미국을 상대로 무역에서 이익을 취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며, 협상이 전혀 진전되지 않고 있다"면서 "오는 6월 1일부터 유럽연합산 제품에 대해 50%의 일괄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또한 EU를 겨냥해 "강력한 무역장벽과 부가가치세(VAT), 어이없는 법인 처벌, 비통화성 무역장벽, 통화조작, 미국 기업을 겨냥한 불공정 소송 등이 누적돼 연간 2,500억 달러(약 340조 원) 규모의 무역적자를 야기하고 있다"며, "이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제품이 미국에서 생산된다면 관세는 없다"고 강조했다.

17480037617892.jpg
애플 텍사스 공장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제품을 보여주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 [사진=로이터 뉴스핌]

◆ 시장은 즉각 반응…주가지수 선물 일제히 하락

이같은 발언이 공개되자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즉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협상이 지지부진하거나, 기업의 국내 투자 유인이 부족하다고 판단할 경우, 고율 관세라는 '무역 무기'를 다시 꺼내들 수 있다는 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앞서 4월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상호 관세를 시행, S&P500 지수가 약세장에 근접할 정도로 금융시장을 흔들었다. 이후 영국·중국 등 일부 국가와 예비 협정을 체결하고 고율 관세를 일부 철회하면서 시장은 반등했고, S&P500 지수는 지난주 기준으로 연초 대비 손익분기점을 회복했다.

하지만 이번 주 들어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면서 투자심리가 다시 얼어붙고 있다. S&P500 지수는 이번 주에만 약 2% 하락했고, 다우지수는 1.9%, 나스닥지수는 1.5%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전날 하원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지출 법안이 통과됐다. 해당 법안은 현재 상원으로 넘어간 상태다. 법안의 재정 부담과 국가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는 장기물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번 주 5.161%까지 올라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0년물 수익률도 일시적으로 4.6%를 상회했다. 다만 이날은 일제히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번 경기 불안 심리는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주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강등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무디스는 급증하는 재정적자와 기존 부채의 차환 비용 증가를 등급 하향의 주요 사유로 제시했다.

이날 개장 전 특징주로는 ▲애플(AAPL) ▲엔비디아(NVDA) ▲테슬라(TSLA) 등 대형 기술주의 주가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23일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포함한 원자력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는 소식에 관련주의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는 2.5% ▲GE 버노바(GEV)는 0.04% ▲비스트라(VST)는 0.8% ▲오클로(OKLO)는 8.2%, ▲뉴스케일 파워(SMR)는 9.2% 각각 상승했다. 당초 오름 폭이 더 컸으나 트럼프의 발언 후 오름폭을 축소하는 분위기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