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AI와 사람이 토론을 벌인다면? AI가 한판승...악용 우려"

코투선 0 4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인공지능(AI) 챗봇이 성별과 나이 등 기본적인 인적 정보만 입수하면 온라인 토론에서 자신의 논리를 인간보다 더 설득력있게 구사한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이는 AI가 능수능란하게 정보를 왜곡해서 인간과 맞설 수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평했다. 

현지시간 19일 인간행동연구 온라인 과학 저널 네이처 휴먼 비헤비어(Nature Human Behaviour)에 게재된 보고서에 따르면 대규모 언어모델(LLMs)로 알려진 인공지능(AI) 챗봇에 토론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인적 정보를 제공할 경우 온라인 토론에서 자신의 논거를 잘 적용해서 인간보다 더 설득력있게 토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 공동저자로 이탈리아에 있는 폰다치오네 브루노 케슬러 연구소의 복합 인간 행동 부서 책임자인 리카르도 갈로티는 "심지어 연구자들은 대규모 언어모델이 토론 상대방의 기본 정보가 없더라도 인간보다 더 설득력있게 토론을 벌인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갈로티 등 연구진은 미국에 거주하는 900명의 사람을 인간 혹은 챗GPT(GPT-4)와 토론 대련을 시킨 결과, 이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900명의 사람은 토론 상대방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 이들과 토론하는 인간 혹은 AI는 성별, 나이, 인종, 교육수준, 고용 상태, 정치 성향 등 참가자가 제공한 일부 기본적 인구통계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다.

투 팀은 사형제도와 기후변화 등 여러 사회정치적 현안을 놓고 토론을 벌였다.

"낙태는 법적으로 허용되야 하나?" "미국은 화석 연류를 금지해야 하나?" 같은 질문 을 하면 4분 동안 찬성, 반대 여부를 말하고 3분 동안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 그리고 3분간 결론을 말하게 했다.

토론 참석자들은 1에서 5까지 척도 상에서 자신의 동의 정도를 표시했다. 연구자들은 토론 시작 전에 제공된 평가와 토론 후 평가를 비교해서 상대가 얼마나 자신의 의견을 변경했는지 추정할 수 있었다. 

갈로티는 "우리는 분명하게 전략적으로 여론을 한 방향으로 모이게 하는 LLM 기반 네트워크의 자동화된 설명을 파악했다"고 말했다.

LLM의 개인정보 사용은 미묘하지만 효과적이었다.

정부의 보편적인 기본소득 지원과 관련한 토론에서 LLM은 35세~44세의 미국인 백인 남자 공화당원과 토론할 때는 경제 성장과 열심히 일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에 비해 45세~54세의 흑인여성 민주당원과 토론할 때 LLM은 소수 인종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빈부격차를 거론하고 보편적인 기본소득 지원이 평등 제고에 기여한다고 이야기를 풀었다.

갈로티는 "연구 결과, 우리가 인터넷에 퍼뜨리는 막대한 양의 개인 정보에 의해 가능한 마이크로타기팅(microtargeting)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 "AI 기반 특정 계층 겨냥 설득은 기본적이고 비교적 얻기 수월한 정보만으로도 이미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모델들이 자체 논리와 설득력으로 거지맛과 허위 정보를 퍼트릴 가능성이 매우 우려스럽다"며 "이에 대비한 보다 엄격하고 세분화된 정책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유럽연합(EU)은 사람들의 의사결정 능력을 저해하는 "잠재의식 조작 기술"이나 "고의적 조작 혹은 기만 기술"을 사용하는 AI 시스템을 금지하는 최초의 AI 법을 제정했다. 다만 칼로티는 이 법도 완전하지는 않다며 "잠재의식적인, 조작적인, 기만적인(사기적인) 것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의 연구는 왜 이런 정의가 중요한지 소상하게 보여준다"며 "(AI를 활용한) 설득이 사회인구학적 요소들에 기반해 고도로 개인화될 때 합법적 설득과 조작 사이의 경계는 점점 모호해진다"고 지적했다.

옥스퍼드대학의 산드라 워치터 교수도 보고서 내용이 "매우 놀랍다"고 했다. 그는 AI가 거짓말과 가짜 정보를 확산하는데 이런 설득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가장 우려한다고 말했다.

"대규모 언어모델은 사실과 픽션을 구분하지 않는다. 엄밀하게 말하면 그것은 진실을 말하도록 고안되지 않았다. 그런데도 진실과 미세함이 중요한 교육, 과학, 의료, 매체, 법, 금융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17477283518761.jpg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 DB]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