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인도, 미국에 '비관세 규제' 철폐 촉구...印 상무장관 "루트닉과 좋은 논의"

코투선 0 4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인도가 '비관세 규제'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고 인도 비즈니스 스탠다드가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인도의 한 정부 관계자는 "미국은 인도와 많은 비관세 조치(NTB)에 대해 논의하고 싶어하고 우리도 인도 기업들이 직면한 여러 비관세 조치(NTM)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은 식품 및 농산물 안전 기준과 관련된 위생 및 식물 위생 검역 조치에에 대한 논의를 원하지 않고 있지만 인도 산업계는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인도와 미국은 양자 무역 협정을 3단계에 걸쳐 타결하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전에 1단계 잠정 합의에 도달한 뒤 9~11월께 19개 세부 항목을 포함한 보다 보괄적인 2단계 합의를 체결하고, 포괄적 합의가 될 가능성이 큰 최종 단계 합의는 미국 의회의 승인을 거쳐 내년에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협상을 위해 지난 16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4일 일정으로 워싱턴을 방문 중인 피유시 고얄 인도 상무부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과 회동했다.

고얄 장관은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린 글에서 "인도와 미국 간 양자 무역 협정의 첫 번째 단계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루트닉 장관과 좋은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한편 인도와 미국 양국은 지난 2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백악관 방문 기간 2030년까지 양자 무역액을 5000억 달러(약 700조원)으로 늘리기 위한 양자 무역 협정 체결에 합의했다. 1차 협정이 이르면 가을께 타결되면서 인도가 가장 먼저 미국과 무역 합의를 이룰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실제로는 영국이 가장 먼저 미국과 합의에 도달했고, 최근에는 인도와 미국 사이에 불편한 기류가 감지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인도가 지난주 미국 상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며, 인도 측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가 무관세를 제안해왔다고 주장했지만 무역 협상을 빨리 타결해야 한다는 긴박함을 보이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17477211604589.jpg
[사진=바이두(百度)]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