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먹거리부터 공공요금까지 생활물가 고공행진…정부, 물가잡기 '총력전'

코투선 0 2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소비자물가지수가 넉 달 연속 2%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정작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물가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환율 등 대외 요인으로 인한 가격 인상이 이어지면서 생활물가 상승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할당관세 적용, 세제·금융 지원, 배달앱 할인행사 등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정책을 꺼내들고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또한 환율 안정화를 위한 외환시장 미세조정,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활용 등으로 수입물가 압력을 낮추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먹거리부터 공공요금까지…생활물가 조용히 오른다

15일 통계청의 '2025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2.2%)과 2월(2.0%), 3월(2.1%)에 이어 넉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 성질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살펴보면, 상품 가운데 전기·가스·수도가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지역 난방비와 도시가스, 상수도료가 각각 9.8%, 6.9%, 3.8% 오른 탓이다. 전기료는 0.4% 하락했지만, 증감률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

17472612577584.jpg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은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품목별 증감률을 살펴보면 곡물(8.6%), 수산물(6.4%), 축산물(4.8%), 기타 농산물(4.1%) 순으로 높았다. 반면 채소와 과실 물가는 각각 1.8%, 5.4% 감소했다.

특히 공업제품은 가공식품이 4.1% 상승하며 오름세를 이끌었다. 가공식품은 오징어채(46.9%), 초콜릿(21.2%), 김치(20.7%) 등 전체 품목 중 14%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코코아·커피 등 국제 원재료 가격과 환율, 인건비·공공요금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 요금도 줄인상 됐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했다. 요양시설이용료(7.9%), 하수도료(5.7%), 정화조청소료(5.4%), 사립대학교납입금(5.2%), 유치원납입금(4.3%) 등이 일제히 올랐다. 집세는 0.7% 상승했는데, 월세와 전세가 각각 1.2%, 0.4% 상승한 영향이다.

개인 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이중 외식 가격은 물가안정의 취약 지점 중 하나다.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는데, 이는 13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도시락(8.4%), 햄버거(6.6%), 치킨(5.3%), 자장면(5.1%), 김밥(4.7%) 등 서민 외식 품목들이 일제히 올랐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컴퓨터수리비(47.6%), 콘도이용료(17.6%), 보험서비스료(16.3%), 가전제품수리비(13.5%), 이러닝이용료(9.4%), 승용창임차료(9.1%), 가정학습지(6.8%), 운동경기관람료(6.4%), 세탁료(6.2%), 자동차학원비(4.4%), 미용료(4.2%) 등 일상에서 접하는 서비스의 요금이 줄줄이 인상됐다.

◆ 정부 "먹거리부터 잡자"…할당관세·배달앱·할인행사 총력전

정부는 우선 먹거리 물가부터 빠르게 잡기로 했다.

정부는 물가 상승세에 대응해 추경 예산 1200억원을 포함한 종합 대책을 가동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외식·가공식품·축산물 중심의 대책에, 기획재정부는 고환율 대응과 수입물가 안정에 집중하고 있다.

17472612581531.jpg

가공식품은 원재료 가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과·제빵용 계란가공품(4000톤)에 할당관세(0%)를 적용하고, 세제·금융 지원도 나선다. 중소 식품기업에는 원재료 구매자금 4500억원을 별도 지원하며, 수입 부가세 면세를 병행 추진 중이다.

특히 가격 인상 가능성이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식품업체와의 간담회를 통해 인상률 축소, 시기 분산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 라면, 과자, 커피 등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협의가 진행 중이다.

외식 가격 부담 완화를 위해 공공 배달앱을 활용한 할인 쿠폰 정책도 시행된다. 이를 위해 650억원의 예산이 배정됐으며 '2만원 이상 3회 주문 시 1만원 할인' 구조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배달 수수료 절감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동시에 노리는 정책이다.

기재부는 환율 안정화를 위한 외환시장 미세조정과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활용 등으로 수입물가 압력을 낮추고 있다. 수입선 다변화와 수입품 공급 구조 개편 등 중장기 대응도 검토 중이다.

물가당국 관계자는 "물가안정을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다하겠다"며 "가격 변동이 큰 품목에 대해서는 출하가격과 유통구조 전반을 점검하고, 만약 담합 여부 등 불공정 행위가 확인되면 관련 법에 따라 엄중하게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