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미∙중 무역협상 타결, '홍콩 기술주' 상승 촉매제 될까

코투선 0 4

이 기사는 5월 13일 오후 4시1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극단의 치킨게임으로 치닫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분쟁이 지난 주말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을 통해 극적인 합의점을 찾으면서 일단은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

합의 내용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부여했던 보복관세를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각각 상호관세를 115%씩 인하한 것으로, 해당 관세 인하폭은 당초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수준이다. 인하된 관세율은 오는 14일부터 90일간 한시적으로 적용되며, 이후 후속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양측 무역협상이 시장이 예상한 최고의 긍정 시나리오보다 훨씬 더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평했다. 해당 소식에 즉각 시장의 위험선호도가 확대되며 미국은 물론 중국 주식시장도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는데 A주보다 홍콩증시, 특히 홍콩 기술주의 주가 급등세가 두드러졌다.  

다수의 현지 전문기관들은 미∙중 무역협상 타결 이후 홍콩증시의 흐름을 낙관하면서, 특히 홍콩 기술주의 우세에 베팅하고 있다.

홍콩증시는 역외 금융센터의 역할을 하며 관세정책에 A주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초대형 관세정책 리스크가 해소된 이후 그만큼 높은 주가 탄성을 보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 중에서도 홍콩 기술주는 산업 트렌드와 정책 지침이라는 '이중 자극제'의 영향을 받아 올해 들어 남향자금(南向資金∙남하자금으로도 불림, 중국 본토에서 홍콩증시로 유입되는 투자자금) 유입액이 계속 신기록을 세우고 있고, 주가 탄력 공간도 다른 종목 대비 훨씬 크다는 평가가 나와 지속적인 상승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 무역협상 이후 기술주 강세론 '2대 근거'

다수의 중국 현지 전문기관들은 이번 미∙중 무역협상 타결 이후 특히 기술주에서 강세장이 연출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같은 관측의 근거는 크게 △초대형 리스크 해소 이후 위험선호도 상승 △5~6월 높은 승률을 보여온 기술주 선례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1. 무역분쟁 리스크 해소 '위험선호도 상승'

미∙중 양국이 파격적인 관세 인하로 합의점을 찾았다는 소식이 전해진 5월 12일 중국 본토 A주와 H주 시장의 기술주들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반응을 보인 것은 홍콩 기술주였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恒生科技指數∙HSTECH)는 이날 5.16% 급등했다.  

통상 위험 선호도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기술주는 일반적으로 더 큰 탄력성을 보이는데, 미∙중 무역협상의 긍정적 결과에 위험선호도가 상승하면서 기술주의 상승모멘텀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4월 2일부터 5월 12일까지 항생테크지수는 최저점 대비 최대 약 28% 상승했고, 나스닥은 27% 상승했으나, 같은 기간 상하이증권거래소 산하 커촹반(科創板·스타마켓)의 50대 대표 종목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커촹50(科創50)지수는 단 19% 상승에 그쳤다.

이는 홍콩 기술주가 매우 강세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A주 기술주뿐만 아니라 미국 기술주보다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섹터적 측면에서도 앞서 관세분쟁 리스크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수출 산업체인과 기술 산업체인의 주가 회복 탄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중장기적으로는 업계 경기와 산업 트렌드의 민감도가 강한 로봇, AI 연산, 국방군수 등이 투자방향으로 거론된다. 

현지 전문기관들은 미∙중 양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한 실질적 협상 진전과 합의는 향후 글로벌 관세분쟁 국면의 큰 전환점을 의미하며, 위험 선호도가 크게 높아져 위험자산의 상승에 유리하고 주식 투자가 장기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했다.    

17472081599621.jpg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5.13 [email protected]

2. '매년 5~6월 높은 승률' 보인 기술주 선례

지난 10년간의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5~6월에 기술 섹터 자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승률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와 흥업증권경제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TMT(기술∙미디어∙통신)로 대변되는 기술주의 주가 상승률'과 'A주 대표지수 산출 기관인 중정지수유한공사(中證指數有限公司)가 A주(상하이∙선전∙베이징증권거래소 모두 포함) 91~94%(시총 점유율 96~98.44%) 상장사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중정전면지수(中證全指) 상승률'의 수치를 비교해보면, 5~6월 TMT 섹터의 주가는 월등히 우수한 흐름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5~6월 기술주가 높은 승률을 보인 배경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거론된다.

우선, 4월 1분기 재무제표가 공개된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시장의 위험 선호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5~6월 자체가 기술 산업 업계에 있어 중요한 회의들이 집중적으로 개최되는 시기로 이러한 이벤트들이 주가 상승모멘텀을 자극할 촉매제로 작용해서다.

이는 중국 시장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매년 5~6월은 미국 기술 섹터의 계절적 특성이 가장 강한 시기로,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 애플의 개발자 컨퍼런스 등 글로벌 IT 트렌드를 선도하는 다양한 이벤트가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해당 시기에는 어떠한 이벤트 하나만으로도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정도다. 그 결과 지난 10년간 매년 5~6월이면 미국 증시에 상장된 반도체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S&P 500지수'를 앞서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기술 섹터 전반에 영향을 미쳐왔다.

◆ '홍콩 기술주' 특히 주목할 '3가지 이유'

1. 큰 강세장이 오기 전에 홍콩 기술주는 보통 A주보다 먼저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왔던 과거 선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 9월 24일 연출된 초대형 불마켓 직전과 올해 초 나타난 상승 장세에서 홍콩증시의 50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홍콩기술지수(港股科技指數, CNY)'는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상장사 중 일정 규모와 유동성을 보유한 300개 대형 종목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CSI300(滬深∙후선300) 지수'보다 약 한달 정도 먼저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9월 24일 불마켓 이전 한달 간(2024.8.30~2024.9.23) 홍콩기술지수는 11.21% 상승한 반면, CSI300지수는 5.07% 하락했다. 올해 초 불마켓 장세 이전 한달 간(2025.1.3~2025.2.5) 두 지수의 주가 상승폭은 각각 15.46%와 1.68%로 이 또한 홍콩기술지수가 선행적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② '홍콩 기술주' 상승 촉매제 될까>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